건축정보
· 위 치 : 인천시 강화군 불은면 덕성리
· 부지면적 : 825.4㎡(250.0평)
· 건축면적 : 198.3㎡(60.0평)
· 건축형태 : 단층 철근콘크리트 주택
· 외벽마감 : 스프릿블록, 목재, 석재 패널
· 지 붕 재 : 우레탄 방수 도포
· 내벽마감 : 실크벽지
· 바 닥 재 : 원목마루, 천연대리석(거실), 타일(주방/식당)
· 난방형태 : 심야전기보일러, 보조난방-가스보일러
· 식수공급 : 지하수
· 설 계 : 아키수건축사사무소02-2065-1670
· 시 공 : 건축주직영
조선 말 외적으로부터 나라를 지키기 위해 격전을 벌였던 광성보(1656년 설치)로 인도하는 숲길에는 선열의 우렁찬 함성과 포연은 간데 없고 질곡의 역사를 견딘 땅이 오늘을 사는 섬사람들을 푸근히 안아준다. 그 숲길을 지나다 보면 김주영 · 최혜진 부부의 전원주택이 자연스레 올려다보인다. 이 주택이 유독 행인의 눈길을 사로잡는 까닭인즉, 건축물을 우람하게 치켜세우는 검은색 스프릿블록과 시공자의 공이 많이 들어감직한 원형 창이 어우러져 독특한 매력을 발산하기 때문이다. 인테리어 디자이너인 남동생이 누나와 매형을 위해 처음으로 올린 건축물이라 최혜진 씨도 남동생도 특별한 의미가 담긴 집이다.
강화군 덕성리 광성보 진입로 변에 위치한 김주영(46세)·최혜진(41세) 부부의 198.3㎡(60.0평) 철근콘크리트 주택은 모던한 느낌이 물씬하다. 마을 진입로 쪽으로 등을 돌린 이 주택은 바로 코앞에 서해가 조망되는 방향으로 좌향을 잡음으로써 조망권과 프라이버시 보호를 확보했다. 마당 경사지 위에 설치한 단조로 된 정자가 방문객의 시선을 단숨에 사로잡는데 외적 아름다움이나 활용도에 있어 모두 일품이다.
외벽 마감용으로 사용한 스프릿블록(벽돌의 일종)은 최혜진 씨가 딸이 다니는 대학교를 방문했다가 한 건물 외벽에 사용한 것을 발견하고 마음에 쏙 들어서 사용했다고 한다. 스프릿블록은 공연장이나 기업체 사옥 등 공용건물이나 상업시설물에 주로 적용되는 자재로 묵직하고 고풍스러우면서 세련된 느낌을 내는 데 적용된다. 이 주택의 경우 주변 사적지의 이미지와 잘 어울리고 부드러운 질감과 자연스러운 형태로 인해 자연과도 잘 어우러진다.
외장재가 주는 그런 이미지 때문인지 개인주택이라 단정 짓지 못하고 '뭐 하는 데냐? 카페냐 펜션이냐'하고 불쑥불쑥 찾아와 묻는 이가 더러 있다. 사적지를 둘러보는 관광객이 많은 휴일이면 어김없이 하루 2~3팀은 마당까지 들어와 자세히 물어보고 간다는데 시공업자나 예비 건축주들의 경우 똑같은 자재로 집을 짓고 싶어 판매업체와 명칭을 알려 달라고 조르기도 한다고.
설계는 물론 건축물의 각 요소마다 마감재 및 인테리어 품목에 대해 일일이 신경을 썼다는 최혜진 씨는 남편과 본인의 취향을 고려하고 서로 어울리는 최적의 재료를 선정하기 위해 발품 파는 수고로움을 아끼지 않았다. 전원주택 관련 박람회, 국내외 서적을 두루 탐색하고 마음에 드는 자재가 눈에 뜨이면 생산 공장까지 달려가 한 번더 눈으로 확인한 후 시장 판매 가격보다 훨씬 저렴한 가격에 제품을 구입해 왔다. 덕분에 자재비용을 대폭 줄였다.
개성을 잘 살린 각 공간들
자연미 물씬한 검은색 스프릿블록이 주조를 이루는 외관은 부분적으로 목재를 적용하고 포인트 재료로 광택이 있는 검은색 석재 패널을 조화롭게 사용해 심플하고 세련된 외관을 뽐낸다. 현관을 중심으로 좌측은 거실, 주방/식당, 손님방, 욕실, 가족실이, 우측은 부부침실로 공적공간과 사적공간이 의미상 채나눔된 구조가 특징적이다. 1층 주차공간의 필로티 위에 앉혀 거실보다 반층 높은 위치에 놓인 부부침실은 마치 섬 위에 올린 성과 같은 분위기가 감돈다. 이 공간은 브리지 형태의 복도로 공적공간과 분리된 데다 기류를 한 번더 완화시키는 계단 설치로 인해 공간의 독립성이 한층 강조됐다. 침실과 더불어 욕실과 드레스룸, 파우더룸을 설치함으로써 생활에 불편함이 없도록 했다.
중심 공간인 거실은 전면에 파티오 도어를 설치해 덱으로 자유롭게 드나들도록 하고 동쪽으로 열린 바다가 시원스럽게 실내로 들도록 한다. 거실 후면에 복도를 사이에 두고 주방/식당을, 그 위에 다락느낌의 가족실을 배치했다. 주방/식당은 평상시 오픈형으로 사용하고 경우에 따라 차단되도록 접이식 문을 설치했다. 거실에서 바라봤을 때 주방/식당은 그 자체로 마치 아트월 느낌을 내는데 패턴이 들어간 강화유리 소재의 문을 닫으면 깔끔하고 은은한 벽면이 나타나 공간을 차분하게 하고 문을 활짝 젖히면 주방가구의 붉은 톤이 포인트가 돼 집 안에 생기를 불어넣어 이중 효과를 낸다.
건축주는 애초에 8m 정도의 높은 고와 복층을 원했으나 법적 제한으로 5m 조금 넘는 천장고에 만족하고 대신 거실 천장을 오픈시키고 공간들을 후면으로 밀어 주방/식당, 손님방, 욕실 위로 가족실을 드렸다. 모던한 거실과 대조적으로 가족실은 동화 속 인형의 집에 온 듯 로맨틱한 분위기가 지배적이다. 퀼트(Quilt)가 취미인 최혜진 씨의 공방으로 쓰이는 가족실에는 벽과 바닥이 온통 퀼트 작품으로 치장돼 있고 낮은 천장과 원형 창이 이러한 동화적 분위기에 일조한다.
방문객에게 탄성을 자아내게 하는 것은 원형 창에 덧댄 목재 여닫이문과 목가구 그리고 그 위에 일일이 그려진 그림이 모두 남동생과 미술을 전공한 남동생 친구들의 수제 작품이라는 점이다. 모든 손님이 하나같이 감탄하는 공간이자 남편 김주영 씨가 가장 자랑스러워하는 공간이기도 하다.
김주영 · 최혜진 부부는 6년 전부터 전원생활을 계획했고 보다 더 젊을 때 전원주택을 짓기위해 노력해 왔다. 이들 부부는 보편적인 전원생활자와 달리 독특하게도 젊을 때 전원생활을 충분히 경험하고 노년기에는 다시 도시로 나갈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 아무래도 전원생활은 각종 시설이 부족하기에 불편함이 많다는 것인데 노후에는 의료시설을 비롯해 편의 · 문화시설이 인접해 있을수록 유리하므로 편리한 도시로 되돌아가겠다는 것이다. 일리가 있는 말이다. 그런데, 수구초심首丘初心이라 추억이 물밀듯 그리움으로 사무치는 노년기에 산천초목山川草木이 그리워지면 그때는 어이할까.
글 박지혜 기자 사진 서상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