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오의 정원 이야기9 _ 주택정원 디자인(3)
공간을 알면 정원이 쉽다
공간을 알면 정원이 쉽다
정원이 어렵다는 이야기를 자주 듣는다. 고민을 들어보면 대부분 같은 이야기를 한다. 혼자 힘으로 정원을 만들어보고 싶어서 이리저리 궁리하며 만들었는데, 완성을 하고 나면 어딘가 모르게 부족한 것 같다는 이야기를 한다. 어디서부터 문제가 있었을까?
글 사진 이오(푸르네 대표정원사)
하나의 정원, 다양한 디자인
정원 만드는 일은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하는지가 중요하다. 보통 꽃시장으로 달려가서 눈을 현혹하는 꽃들을 차 안 가득 싣고 와서는 정원에 심기 시작한다. 모두가 예쁘고 아름다운 색상과 모양을 가지고 있으니 무조건 가까이에 심어 놓고 보고 싶은 욕심을 부린다. 물론 어디에 어떻게 심어도 상관은 없다. 정원에 정답은 없다. 하지만 정원은 자연스럽게 보이는 질서가 있어야 완성도 높은 정원을 가꿀 수 있다.
이오는 정원사라는 직업에 대해 공간을 디자인하는 사람이라고 자주 말한다. 정원에는 많은 공간들이 있다. 몇 번에 걸쳐서 정원 공간에 대한 이야기를 이어왔다. 공간이 주는 에너지가 다르고 어떤 패턴을 가졌느냐에 따라 공간의 느낌이 달라진다. 그렇기 때문에 공간을 디자인 한다는 것은 중요하다.
정원 설계도를 가지고 공간에 대한 다양한 재미를 찾아보자. 하나의 정원 공간에 여러 개의 공간 디자인을 시도해 보았다. 정원을 만들려고 하는 면적은 120㎡(36.3평)정도의 작은 공간이다. 필요한 공간은 가장먼저 잔디가 펼쳐진 휴게공간과 거실과 연결된 또 하나의 휴게공간이 필요하다. 정원 한쪽에는 작은 공간이지만 또 하나의 작은 휴게공간까지 포함해서 총 2개의 휴게공간을 두기로 했다. 두 개로 나누어진 식재공간과 텃밭 그리고 연못과 수돗가까지 8개의 공간을 나누기로 했다.
다른 정원에 비해 휴게공간이 많은 정원이라는 점이 특징이기도 하다. 휴게공간 하나 정도는 식재공간으로 만들어서 큰 경관을 만들어도 되겠지만 정원주의 요청에 의해 휴게공간을 많이 두기로 했다.
정원 만들기의 시작은 공간 디자인부터 시작이다. 그리고 정원을 활용하게 되는 것도 공간을 어떻게 나누게 되는지에 따라서 다르게 사용된다.
다양한 표정 만드는 식재 패턴
A-1, A-2 공간부터 보자. 집을 중심으로 정원을 바라보는 시야를 가로로 길게 늘어뜨린 공간 계획이다. 이런 정원에서는 식재가 중첩해서 보이기 때문에 작은 정원이라고 하더라도 다양한 표정을 만들어내는 식재 패턴을 만들 수 있다. 이런 패턴을 가질 수 있는 것은 전체 공간을 가로로 길게 늘어뜨린 계획이 되었기 때문이다. 잔디 공간이 작게 나누어져 있어 넓은 잔디 공간은 아니지만 수평에서는 깊어 보이는 장점이 있는 정원이다.
A-3, A-4는 가로와 세로가 만나는 공간 계획이다. 같은 세로 공간이라고 하더라도 더 잘게 쪼개서 세로 공간을 나누었다. 한 번에 길게 이어지면 한눈에 정원이 보이기 때문에 잘게 쪼개서 공간을 나누어 보면 공간마다 다른 색상의 식물 표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좀 더 입체적인 식재가 가능하다. 키가 큰 교목 식재도 6그루를 식재 했지만 식재 위치가 달라지면서 공간의 무게감이 달라지게 느낄 수 있는 식재 패턴이 예상된다.
중첩성으로 깊어 보이는 정원
B-1, B-2, B-3은 같은 가로 공간이라고 하더라도 좌우측이 서로 중첩되는 공간계획이다. 기능적으로 공간을 나누기보다 서로의 공간이 중첩되면서 연결성을 높이고 각각의 가로 공간이 다시 중첩 되면서 깊어 보이는 정원 표현이 가능하다. 집과 마주한 앞부분을 잔디로 비워 놓았기 때문에 작은 연못의 물과 함께 넓어 보이는 느낌을 낼 수가 있다. B-3같은 경우에는 공간을 이동하며 느낄 수 있는 아치도 있어 입체적인 공간이 된다.
B-4, B-5를 보자. 전체 공간을 통합하듯이 곡선을 이어 공간을 완성했다. 공간 안에 들어섰을 때 느낌은 부드러운 느낌과 어디엔가 안기는 듯한 편안한 느낌을 받게 된다. B-5는 가로로 길게 늘어진 선을 곡선으로 표현한 공간 계획이다. 같은 가로선의 공간 계획이라도 직선과 곡선이 주는 느낌이 다르다는 것이 예상되는 공간 패치다.
A-5, A-6, A-7은 메인으로 사용할 휴식공간을 우측 공간으로 변경하면서 공간을 달리 사용하게 된다. 휴게공간을 꼭 한 공간에서만 고집하기보다는 다른 공간으로 이동했을 때 전체적인 공간은 전혀 다른 공간으로 나누어진다.
땅에 직접 공간을 그려보자
지금까지 한 공간에서 여러 개의 공간 배치에 따른 정원 디자인을 살펴보았다. 앞서 말한 것처럼 정원 만들기의 시작은 공간 디자인부터다. 그리고 정원을 활용하게 되는 것도 공간을 어떻게 나누게 되는지에 따라서 다르게 사용된다. 한 공간에 이렇게 다양한 공간 배치를 보면서 어떤 느낌이 드는가. 대부분 어렵게 보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 정원에 어떤 공간을 들이고 싶은가. 직선적이며 깔끔한 공간인가 아니면 부드러우면서 자연스런 느낌을 원하는가. 공간을 결정할 때는 내가 좋아하는 공간을 찾는 것이 우선이지만 집과 땅의 모양에 따라서도 공간 배치가 달라진다. 만약 집을 짓고 아직 정원을 만들기 전이라면 빈 땅에다가 여러 번 선을 그려가며 공간을 만들어 보자. 종이 위에 그리는 도면만이 아니라 1:1로 땅에 직접 공간을 그려보면 정원에서 받게 될 느낌을 좀 더 확실하게 상상하게 된다. 여러 번 그리고 지우기를 반복하며 집에 놀러 온 친구들과도 공간에 대해서 이야기해보자. 이런 과정이 정원을 만들어가는 큰 즐거움이라는 것도 잊지 말자.
그 정원에 어떤 공간을 들이고 싶은가. 직선적이며 깔끔한 공간인가 아니면 부드러우면서 자연스런 느낌을 원하는가. 공간을 결정할 때는 내가 좋아하는 공간을 찾는 것이 우선이지만 집과 땅의 모양에 따라서도 공간 배치가 달라진다. 만약 집을 짓고 아직 정원을 만들기 전이라면 빈 땅에다가 여러 번 선을 그려가며 공간을 만들어 보자. 종이 위에 그리는 도면만이 아니라 1:1로 땅에 직접 공간을 그려보면 정원에서 받게 될 느낌을 좀 더 확실하게 상상하게 된다. 여러 번 그리고 지우기를 반복하며 집에 놀러 온 친구들과도 공간에 대해서 이야기해보자. 이런 과정이 정원을 만들어가는 큰 즐거움이라는 것도 잊지 말자.
정원 공간이 완성되면 이제 그 공간에 어떤 식물을 식재해서 색감과 계절을 표현할지 고민하기 시작한다. 이때 꽃시장을 나가면 된다. 그동안 성급한 마음에 꽃시장을 먼저 다녀왔다면 이제 공간에 대한 고민부터 시작해 보자.
정원의 시작은 공간 배치부터
정원이 완성되면 이제 어떤 식물을 식재해서 색감과 계절을 표현할지 고민하기 시작한다. 이때 꽃시장을 나가면 된다. 그동안 성급한 마음에 꽃시장을 먼저 다녀왔다면, 이젠 공간에 대한 고민부터 시작해 보자. 정원의 시작은 식물이 아니라 공간 배치부터라는 것을 기억해 두자.
정원사는 공간을 만들고 그 안에서 사람들이 무엇을 경험하고 느끼게 될지 계속해서 고민하면서 작업을 이어가는 직업이다. 그래서 정원사는 새로운 공간과 경험에 내 몸과 생각 그리고 마음을 옮겨보는 작업을 좋아하는지 모른다. 정원이라는 공간이 가지는 최고의 선물이 당신을 기다리고 있다.
이오(푸르네 대표정원사)
현장에서 27년간 정원 디자인과 시공, 문화 활동을 이어왔고, 최근에는 마을 정원을 통해 공동체의 지속가능성에 대해 관심을 두고 있다. 현재 푸르네 대표정원사 겸 원예치료사로 활동하고 있고 산림청정책자문위원, 한국원치료복지협회이사, 한국정원협회이사를 겸하고 있다. 저서로 《정원사용설명서》, 《건축가의정원 정원사의건축》, 《엄마정원 아이정원》, 《가든&가든》이 있다.
allday31@naver.com 유튜브: 정원친구 이오 youtube.com/user/ipuruneif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