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주택&인테리어 검색결과
-
-
건강한 집 짓기2-건강한 집, 친환경(Eco-Friendly)을 넘어서
- 건강한 집, 친환경(Eco-Friendly)을 넘어서건강한 집에 관해서 이야기를 나누겠다고 했습니다. ‘건강한 도시’ 또는 ‘건강한 집’이라고 하면 어쩌면 우리가 흔히 말하는 지속 가능한 건축, 에너지제로의 집, E0 등급과 같은 친환경 인테리어 등을 떠올릴지 모르겠습니다. 진행 노철중 기자글 민예령자료 및 사진 봄하우징 출처: Busan,ⓒFrancis Kim/ⓐji mong 환경을 위한 집친환경(eco-friendly)에 대한 개념은 오래전부터 우리에게 매우 익숙합니다. 친환경이라는 말은 ‘환경을 위한다’는 말입니다. ‘환경적’이라는 것은 환경에 덜 해로운 것이란 뜻일 것입니다. 잠시 그 정의를 다시 짚고 넘어가야 할 것 같습니다. 친환경이란 ‘자연환경을 오염시키지 않고 자연 그대로의 환경과 잘 어울리는 일 또는 그런 행위나 철학들’을 말합니다.(출처: 위키백과) 또한 환경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온 대안 중 하나입니다. 자연환경에 영향을 끼치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공업 방식과 생활 방식에 친환경이라는 노력을 추가하는 것입니다. 쓰레기나 오염물질 배출을 줄이고 혹은 동식물이나 대기에 피해를 덜 끼치는 방식들을 연구하고 실행하는 운동이었습니다. 환경을 고려해 특정 공간을 리모델링하고 건축했는지 판단하는 기준들 역시 오랫동안 개발되어 왔고 잘 수행되어 오고 있습니다. 그중 하나의 개념이 *EPD(Environmental Product Declarations)라는 것입니다. 자재의 추출과 해당 자재의 생애 주기(추출부터 폐기까지) 동안 환경을 얼마나 덜 해치고 덜 손상시키는 방법으로 자재를 추출했는지와 제품이 제작되고, 운송되고, 사용되는 전 과정에서 환경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한 보고서입니다.*EPD 한 제품에 관한 환경적 영향 분석 보고서로 ‘제작, 출하, 운송, 사용의 전 과정에 대해 해당 제품이 환경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를 설명하는 문서 EPD LOGO 출처: EPD International EPD는 ‘환경적 제품 보고서’라고 의역할 수 있으며 현재 우리나라 환경부에서는 ‘환경성적표지’라고 번역해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 EPD는 *LCA(Life Cycle Assessment)를 바탕으로 한 제품의 환경적(environmential) 선언서(Declaration)라고 이해하면 편리합니다. 이 EPD는 3단계를 걸쳐 완성되는데 완성 후에 판매자(distributors 또는 sellers), 디자이너(architectural 또는 interior desgienrs) 그리고 시공자(contractors)가 활용할 수 있게 상용화됩니다. *LCA 한 제품에 관한 생애 주기 분석으로 ‘원료 및 에너지의 소비, 오염물질과 폐기물의 발생 등, 생산·유통·폐기의 전 과정에 걸쳐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EPD PROCESS 출처: EPD International 위 그림은 ‘EPD PROCESS’를 나타낸 것으로 자세히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먼저, PCR(Product Category Rules)은 제품 항목에 대한 기본 틀을 정립하는 단계입니다. 특정 제품(건축에선 재료)의 생산과정에 규율, 요구사항, 기준 등을 제공하며, EPD 작성의 기초 혹은 원리가 되는 친환경 제품 생산에 관한 여러 원칙과 규율들이 담겨 있습니다. 국제표준 규격인 ISO14025와 EN15804를 기준으로 제작합니다. 두 번째는 제품을 평가하는 LCA(Life Cycle Assessment) 단계입니다. 해당 제품의 생애 전 주기별 환경적 영향을 자세히 들여다보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재료를 추출할 때, 자재를 가공 및 제작할 때, 어떻게 얼마나 환경에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한 평가부터 어떻게 운송했는지, 어떤 방식으로 시공되어야만 하는지 혹은 시공될 것인지, 그리고 해당 자재의 수명이 다해 폐기해야 할 때에는 환경에 어떤 식으로 영향을 끼치는지 등을 평가하는 과정입니다. 마지막으로 EPD는 이제 PCR을 바탕으로 LCA를 한 후에, 제조사(manufacturer)가 이 EPD를 제작해 필요 기관 등에 보고합니다. 이 완성된 EPD가 제출되면 제3의 기관에서 리뷰하고 검증합니다. ISO14025와 EN15804 등의 규칙이 PCR의 기본이 되는 기준들이기 때문에 그 기준들에 맞추어 잘 만들었는지 검증한 후, 관련 기관들에 의해 공식적으로 발표 및 기재 (Publish and Posted) 됩니다. EPD는 친환경 건축과 친환경 인테리어의 핵심 개념입니다. 그리고 이 모든 과정의 원칙들과 과정은 거의 대부분 ‘환경’을 위한 행위에 맞춰져 있습니다.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생각들과 신념들이 모여지고 원칙과 규정들을 정하고 우리들이 이것들을 지켜서 자재를 만들고 공사를 하자는 약속이기도 합니다. 출처: Shutterstock 환경을 넘어 ‘우리 건강’을 위한 집으로…이렇게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건축자재를 만들 때 환경을 덜 해치는 자재를 만들어 쓰는 일들은 지구를 지키려는 생각에서부터 고안되어 지난 수십 년간 우리 인류가 머리를 싸매고 고민하던 과제입니다. 네, 지구가 정말 위험하기 때문입니다. 건물에서 사용되는 냉·난방 사용량을 줄이고, 전등을 전부 LED로 교체해 전기 사용량을 줄이고, 신생 에너지들을 개발해 지구를 파내고 파괴하면서 얻었던 것들을 조금씩 줄여나가고, 전기차를 사용해 대기 오염과 오존 파괴 등을 막아보는 일들을 말입니다. 미래를 위해 지구를 아끼는 일, 이 ‘지속가능성 (sustainability)’ 혹은 ‘친환경(eco-friendly)’은 분명 옳지만 우리는 다시 한번 고민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지구의 건강을 위해 달려온 우리는 정작 ‘우리의 건강’에 대해서는 한 번쯤 생각해 보았을까요. Velux의 <Healthy Home Barometer 2022> 출처: 에너지를 줄이려면 단열성을 높여야 합니다. 높은 단열성을 위해서는 고효율 단열재를 사용해야 하고 더 많은 곳을 막아야만 합니다. 그래야 기밀성이 높아지고, 더불어 단열 효과가 높아지겠지요. 단열과 기밀성이 높아진 외피와 에너지 성능이 좋은 창문을 사용하고, EPD가 우수한 자재들로 마감재를 사용해 지구를 위한 집을 지었습니다. ‘친환경적인 집’입니다.하지만 틈 하나 없는 이런 집에서 우리가 간과한 것이 있습니다. ‘자연 환기’입니다. 환기에 취약한 집은 좋은 집이 아닙니다. 실내공기의 질이 극단적으로 나빠지기 때문입니다. 당장 그 위험한 라돈 수치만 보아도 창문을 열고 환기를 시키는 것만으로도 단기적 측정에서는 라돈 수치가 급격히 떨어지게 됩니다. 이렇게 지금까지 지구를 위해 ‘친환경’ 과제에 매달려 있었다면 이제는 우리의 건강을 위한 과제를 완수해야 할 때입니다. 인간을 위한 건강한 집은 어떤 집일까요. 출처: Shutterstock ① 빛이 많이 드는 밝은 집(Light and bright)충분한 햇빛에 노출될 수 있는 것은 당신의 에너지가 넘친다고 느낄 가능성을 두 배 높이는 일이다. 이는 당신의 전반적은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며 수면의 질 또한 향상시키며, 감염의 위험을 줄여줄 것이다.(Being exposed to enough daylight means that you are almost twice as likely to feel energised, which also has a positive effect on your general health, improves your sleeping and reduces your risk of infections.) ② 시원하고 조용하며 수면에 이상적인 집(Cool, quiet and ideal for sleep)밤사이 수면을 촉진하는 시원하고 조용한 침실은 전반적인 건강과 활기찬 기분을 갖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A cool quiet bedroom that promotes a good night’s sleep contributes to overall good health and feeling energised.) ③ 쾌적한 온도를 유지하는 집(Comfortable Temperatures)너무 덥지도, 너무 춥지도 않은 편안한 실내 온도를 유지하는 집은 우리를 여러 호흡기 불편감이나 질병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해 줄 것이다.(Comfortable indoor temperatures - neither too hot, nor too cold - make you less likely to suffer from nose, throat and other upper respiratory infections.) ④ 깨끗한 공기와 환기가 가능한 집(Fresh air and Ventilation)환기가 잘 되는 집은 우리의 기분을 상쾌하게 만들고 바이러스의 번식을 억제한다.(Airing out your home makes you feel more energised and also reduces the transmission of virus droplets.) ⑤적정 습도를 유지하는 집(The right level of humidity)곰팡이가 지속적으로 생기는 집이라면, 목을 비롯한 호흡기관의 감염을 얻기 쉬울 것이다. (Mould in your home makes you more likely to suffer from throat and other upper respiratory infections.) ⑥ 소음이 없는 집(Comfortable Sound)과도한 소음은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고, 수면 장애 등의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Excessive noise can impact your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lead to issues, such as sleep problems.) ⑦ 자연적인 집(Nature)실내와 실외를 연결하는 것은, 좋은 실내 환경을 유지하고 더욱 질 좋은 웰빙을 유지할 수 있다.(Creating a connection between indoor and outdoor areas improves the perception of a good indoor climate and gives a sense of improved well-being.) (번역: 봄하우징) 출처: Shutterstock 공신력 있는 대표적 지속 가능한 기업, 독일의 창호 회사 벨룩스 Velux는 <Healthy Home Barometer 2022>에 발표한 자료에서 건강한 집을 다음 일곱 가지로 정의합니다. 지금까지 언론과 마케팅에 의해 우리가 접하고 있던 ‘친환경’이라는 개념은 말 그대로 ‘환경을 위하는’ 개념입니다. 친환경은 우리가 꾸준히 노력해야 하는 분야임에도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다만 친환경은 ‘건강한 집’에 속한 작은 개념이기도 합니다. 친환경을 향한 노력 속에 우리의 질병에 대한 노출도나 우리들의 건강과 행복을 위한 노력들은 많이 간과되어 왔었습니다. ‘친환경 자재(예: E0 자재)를 사용하면 포름알데히드 방출량이 적어져서 아토피에 좋다’라는 정도가 어쩌면 우리가 알고 있는 전부일 수도 있습니다. ‘건강한 집’은 ‘친환경’을 넘어서는 진짜 집이어야만 합니다. 그래야 우리를 위한 건강한 집이 되니까요. 환경을 위한 집을 넘어서, 정말 우리의 건강을 위한 집! 그것이 바로 봄하우징이 지향하는 ‘건강한 집 짓기’의 시작입니다. 봄하우징건강하고 아름다운 공간을 만들기 위해 완벽한 디자인, 철저한 시공, 그리고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하고 있습니다. 오랜 경험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단순한 공간 디자인을 넘어 더 나은 라이프 스타일을 제안하며 건강한 삶을 지향합니다.02-333-2006www.bomhousing.comblog.naver.com/bomhousing인스타그램 @bomhousing
-
- 주택&인테리어
- 인테리어
-
건강한 집 짓기2-건강한 집, 친환경(Eco-Friendly)을 넘어서
-
-
흙집의 꿈이 현실로, 제천 건강한 집
- 예비 전원 생활자 중에는 유난히 흙집을 고집하는 이가 많다. 건강상, 어릴 적 흙집에 대한 기억 등 이유도 가지각색이지만 공통으로는 자연과의 더욱 친밀한 교감을 위해라고 입을 모아 말한다. 건축주 김 씨도 오래전부터 흙집에 대한 동경을 품어 왔다. 충북 제천시 백운면 애련리에 황토집을 세운 그는 "자연에서 얻은 천연 재료이기에 건강성이 보장됨은 물론 투박한 외형으로 튀지 않고 주변 환경과 어울려 좋다"고 황토집을 택한 이유를 설명하면서 "온갖 고민과 스트레스는 여기에 내려옴과 동시에 싹 사라지니 심신이 건강해지는 기분이다"고 전원의 꿈을 이룬 소감을 전했다. 글 사진 전원주택라이프 편집부 건축정보 위치 충북 제천시 백운면 애련리 대지면적 1013.1㎡(307.0평) 연면적 148.5㎡(45.0평) 건축형태 복층 목구조 황토집 내벽재 황토미장, 홍송 루버, 한지 외벽재 백토미장, 전벽돌, 미송 사이딩 지붕재 오지기와 천장재 홍송 루버 바닥재 강화마루, 황토석 난방형태 구들, 벽난로, 전기-기름 겸용 보일러 설계 권병일설계사무소 043-654-3342 시공 초원황토주택 010-5328-2354 http://cwhouse.barunweb.co.kr/ 유실수 위주로 수십 그루의 나무를 심었다. 산세가 온유한 뒷산과 정원, 그리고 건강한 김 씨의 황토집이 어느 하나 튀지 않고 조화롭다. 건축주는 오래 전 지자체 지원으로 열린 전원마을 페스티벌에서 운 좋게 집터와 든든한 이웃 29집을 동시에 얻었다. 이렇게 인연을 맺은 사람들은 정기적인 모임을 가지며 친구처럼, 가족처럼 그렇게 함께 전원생활의 꿈을 키웠다. 제천에 연고 없는 이들이 대부분이지만 뜻을 함께 하는 벗을 사귀었기에 알 수 없는 미래에 대한 불안한 마음도 떨쳐낼 수 있었다. 한둘씩 집을 짓기 시작해 지금은 대부분 공사를 마쳤다. "여기서 조금만 더 가면 영화 '박하사탕' 촬영지가 있어요. 워낙 경관이 수려해 일찍부터 집이 한두 채 들어섰더라고요. 근데 집이 너무 외로워 보여요. 그러니 집에 사는 사람은 얼마나 외롭겠어요. 그런 면에서 전원마을을 택한 게 참 잘한 일이란 생각이 들더라고요. 서투른 전원생활에 이웃끼리 도움 되니 좋고 느지막이 마음 맞는 친구도 사귀니 일석이조고요." 아직은 현업에 종사하고 있기에 주말주택용으로 이용하고 있지만 김 씨는 약 5년 후를 이주할 시기로 보고 있다. " 주말에 내려와 온갖 여유를 즐기다 다시 올라갈 생각을 하면 몸이 천근만근이 된다"는 그는 매일같이 이곳에 몸담을 그날만을 고대하고 있다. 기둥 보와 서까래가 그대로 드러나는 자연미 가득한 거실. 건축 면적이 그리 넓지 않음에도 실내가 거대해 보인다. 2층 방. 2층 역시 시원하게 노출한 서까래와 루버가 고풍스럽다. 미닫이문으로 다락방이 통한다. 넉넉하게 드린 다락방. 시공사 자체 제작 자재로 꼼꼼하게 짓다주택은 경사진 단지의 첫 번째 줄에 자리한다. 앞줄임에도 부지 고도가 280~300m로 높아 아랫마을이 깨알같이 보이고 건축주 김 씨는 오히려 시야에 거리낌이 없어 좋단다. 집 형태는 목구조로 골조를 세우고 황토 벽돌을 쌓아 벽체를 만든 목구조 황토집이다. 여기에 이용된 황토 벽돌은 시공사 대표가 오랜 건축 경험을 살려 생황토에 볏짚을 첨가해 개발한 것인데 홈페이지에 생산과정, 규격 등을 모두 공개하고 있어 이곳 건축주들의 높은 신뢰를 얻었다. 외벽의 상부와 하부는 미송 사이딩과 전벽돌을 시공해 향후 황토가 갈라지는 하자를 사전에 차단했다. 전벽돌은 흙을 다진 후 1100~1200℃ 온도로 구워 제작하는 전통 건축 부재인데 과거에 주로 궁궐, 절 건축 등에 이용될 만큼 단단한 것이 특징이다. 이용된 자재만 봐도 관리의 용이성에 신경 쓴 시공사의 섬세함을 알 수 있다. 외벽의 중심부는 백토로 미장 마감해 화사하면서 세련미를 더했다. 내부는 황토 미장을 위주로 하고 사람이나 사물에 부딪히는 하단부만 홍송 루버와 한지를 시공했다. 서까래를 노출한 천장도 홍송 루버를 설치해 황토가 부스러져 떨어지는 것을 막았다. "공사할 때 자주 와 보지도 못했는데 완공하고 보니 아주 미세한 곳까지 꼼꼼하게 처리돼 있더라고요. 경험 많은 시공사라 그런지 어디에서 하자가 발생하고 어떻게 그것을 막는지 노하우도 확실하고요. 수시로 사후관리도 해준다니까요." 기자가 취재 간 날에도 집은 여기저기에 아직 마르지 않은 황토 자국이 선명했다. 김 씨가 집을 비운 사이에 황토가 갈라진 부위를 채워주고 간 것. 이런 시공사의 배려 덕분에 그는 집에 자주 내려와 보지 못해도 관리에 대한 걱정은 없다고 했다. 1층 안방 위에 만든 2층 공용공간. 1층 거실과 막힘없이 오픈돼 아래위 소통이 편리하다. 1층 거실과 대각으로 놓인 주방. 주로 부부만 머무는 주택이므로 식탁은 따로 놓지 않았다. 대신 ㄷ자로 이어진 싱크대에 키 높은 의자를 놓아 식탁으로 활용한다. 습도 조절하고 악취 없애는 황토 효능아들은 미국 유학 중이고 딸은 서울에서 직장 생활을 하기에 부부는 집 규모를 최소화할 생각이었다. 그런데 시공사 사장이 가슴이 탁 트이는 개방감 있는 집을 제안하면서 결과적으로 천장 고가 6.5m 가량 오픈된 복층 집이 완성됐다. 1층에 안방과 황토방이 있고 2층에는 손님방이 하나 있는데 여기에는 미닫이문으로 연결된 비밀스러운 다락방까지 덤으로 딸렸다. "황토집은 사시사철 쾌적하고 굳이 밖에 나가지 않아도 집에서 자연을 느낄 수 있어요. 또 어느 집이든 그 집만의 특유한 냄새가 있잖아요. 황토집은 그게 없어요. 이 집을 짓고 난 후에 한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냄새를 빨아들이는 황토의 특성에 대한 실험이 딱 나오더라고요. 흙이 숨을 쉬기 때문에 통풍이 잘 돼서 습도 조절은 물론 신선한 공기를 유지한다고요. 제가 몸소 체험하고 있다니까요." 건물 전면과 덱. 오지기와를 얹은 지붕이 빈티지한 멋을 풍기고 목재 사이딩과 백토, 전벽돌이 어우러진 외벽은 전통적이면서도 깔끔한 느낌이다. 퍼걸러처럼 활용하는 덱의 한 부분. 원래 설계에는 없는 공간이었는데 이희모 씨가 공사 중 요구했다. 왜소해 보이는 집에 건축 면적이 넓어 보이는 효과를 준다. 현관이 있는 좌측면. 넓은 정원을 드리기 위해 집은 최대한 우측 끝에 앉혀졌다. 집 양쪽에 세운 전벽돌의 굴뚝 모형 탑은 꼭 장승처럼 집을 호위하는 듯하다. 얼마 전 건축주 부부는 2주 만에 내려온 집의 거실 창문 앞에 죽어 있는 새 한 마리를 발견했다. 아무리 오래 집을 비워도 커튼을 치지 않으니 새가 창문이 있는지도 모르고 냅다 달려든 것이다. "집 지을 때 가장 궁금한 게 남들은 어떻게 지었나 거든 요. 혹여 우리 집 구경하고 싶은 사람들을 위해 커튼은 안 쳐요. 몰래 구경하는 재미도 쏠쏠하거든요. 제가 그래 봐서 알지요." 전원주택라이프 더 보기www.countryhome.co.kr
-
- 주택&인테리어
- 전원&단독주택
-
흙집의 꿈이 현실로, 제천 건강한 집
-
-
[Style] 아이에게도 공간이 필요하다 _ Eco 모던 플레이하우스
- 미국 친환경 기업 '모던플레이하우스'의 플레이하우스를 소개한다. 건축디자이너이자 한 아이의 엄마이기도 한 작가가 만든 모던 플레이하우스는 아이와 자연에 대한 애정을 담아 친환경 라이프사이클을 원칙으로 한 상품이다. 생산과정은 물론 사용과정에서도 환경 친화성을 고려한 놀이집이다.정리 박지혜 기자 자료협조 모던플레이하우스 www.modern-playhouse.com 아이들에게 창조적인 공간을 제공하자. 건축학 교수이자 환경운동가 그리고 3살짜리 아이의 엄마이기도 한 미국의 Gitane Royce 씨가 만든 모던 플레이하우스Modern Playhouse가 주목을 끌고 있다. Gitane Royce 씨가 설립한 회사명이자 상품명이기도 한 모던 플레이하우스는 목재 부품을 간단하게 조립해 쓸 수 있는 집 모양의 놀이 공간이다.환경운동가라는 디자이너의 이력에서 알 수 있듯 '모던플레이하우스'는 친환경적인 라이프사이클을 지닌 상품 공급을 원칙으로 한다. 모던 플레이하우스는 유해 물질을 일절 첨가하지 않는 데다 탄소 발생을 최소화하고 환경에 주는 악영향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지역에서 나는 자연재료를 이용하고 지역 장인들과 파트너십을 통한 생산이 이뤄지고 있다.이처럼 친환경적인 과정을 통해 제작된 핸드메이드 플레이하우스는 사용과정에서도 친환경성을 띤다. 해체와 재조립이 편리하도록 설계됐고 견고하게 만들어 아기부터 초기 청소년 무렵까지 즉, 오랜 기간 사용토록 고안됐다. 또한 자연스러운 목재 제품으로 어떤 인테리어에도 어울리는 디자인이다.Gitane Royce 디자이너는 "아이들은 이곳에서 놀기도 하고 숙제도 하고 낮잠도 자며 꿈을 키운다"며 "기능적으로 설치된 창문과 문을 통해 채광도 좋고 외부와 소통도 가능하다"고 제품을 소개했다.
-
- 주택&인테리어
- 인테리어
-
[Style] 아이에게도 공간이 필요하다 _ Eco 모던 플레이하우스
-
-
[건강한 집] 흙집의 꿈, 20년 만에 현실로 제천 148.5㎡(45.0평) 복층 목구조 황토집
- 건축정보· 위 치 : 충북 제천시 백운면 애련리· 대지면적 : 1013.1㎡(307.0평)· 연 면 적 : 148.5㎡(45.0평)· 건축형태 : 복층 목구조 황토집· 내 벽 재 : 황토미장, 홍송 루버, 한지· 외 벽 재 : 백토미장, 전벽돌, 미송 사이딩· 지 붕 재 : 오지기와· 천 장 재 : 홍송 루버· 바 닥 재 : 강화마루, 황토석· 난방형태 : 구들, 벽난로, 심야전기보일러-기름보일러 겸용· 설 계 : 권병일설계사무소 043-654-3342· 시 공 : 초원황토주택 031-987-7322, 011-328-2354 www.cwhouse.co.kr 예비 전원생활자 중에는 유난히 흙집을 고집하는 이가 많다. 건강상, 어릴 적 흙집에 대한 기억 등 이유도 가지각색이지만 공통으로는 자연과의 더욱 친밀한 교감을 위해라고 입을 모아 말한다. 김희모 씨도 오래 전부터 흙집에 대한 동경을 품어 왔다. 지난 1월 충북 제천시 백운면 애련리에 황토집을 세운 그는 "자연에서 얻은 천연 재료이기에 건강성이 보장됨은 물론 투박한 외형으로 튀지 않고 주변 환경과 어울려 좋다"고 황토집을 택한 이유를 설명하면서 "온갖 고민과 스트레스는 여기에 내려옴과 동시에 싹 사라지니 심신이 건강해지는 기분이다"고 전원의 꿈을 이룬 소감을 전했다. 김희모(51세) 씨는 4년 전, 지자체 지원으로 열린 전원마을 페스티발에서 운 좋게 집터와 든든한 이웃 29집을 동시에 얻었다. 이렇게 인연을 맺은 사람들은 정기적인 모임을 가지며 친구처럼, 가족처럼 그렇게 함께 전원생활의 꿈을 키웠다. 제천에 연고 없는 이들이 대부분이지만 뜻을 함께 하는 벗을 사귀었기에 알 수 없는 미래에 대한 불안한 마음도 떨쳐낼 수 있었다. 한둘씩 집을 짓기 시작해 지금은 30필지 중 총 29가구가 공사를 마쳤다."여기서 조금만 더 가면 영화'박하사탕'촬영지가 있어요. 워낙 경관이 수려해 일찍부터 집이 한두 채 들어섰더라고요. 근데 집이 너무 외로워 보여요. 그러니 집에 사는 사람은 얼마나 외롭겠어요. 그런 면에서 전원마을을 택한 게 참 잘한 일이란 생각이 들더라고요. 서투른 전원생활에 이웃끼리 도움 되니 좋고 느지막이 마음 맞는 친구도 사귀니 일석이조고요."아직은 현업에 종사하고 있기에 주말주택용으로 이용하고 있지만 김씨는 약 5년 후를 이주할 시기로 보고 있다. " 주말에 내려와 온갖 여유를 즐기다 다시 올라갈 생각을 하면 몸이 천근만근이 된다"는 그는 매일같이 이곳에 몸담을 그 날만을 고대하고 있다. 시공사 자체 제작 자재로 꼼꼼하게 짓다주택은 경사진 단지의 첫 번째 줄에 자리한다. 앞줄임에도 부지고도가 280~300m로 높아 아랫마을이 깨알같이 보이고 김 씨는 오히려 시야에 거리낌이 없어 좋단다. 집 형태는 목구조로 골조를 세우고 황토 벽돌을 쌓아 벽체를 만든 목구조 황토집이다. 여기에 이용된 황토 벽돌은 초원황토주택 김용완 대표가 오랜 건축 경험을 살려 생황토에 볏짚을 첨가해 개발한 것인데 홈페이지에 생산과정, 규격 등을 모두 공개하고 있어 이곳 건축주들의 높은 신뢰를 얻었다.외벽의 상부와 하부는 미송 사이딩과 전벽돌을 시공해 향후 황토가 갈라지는 하자를 사전에 차단했다. 전벽돌은 흙을 다진 후 1100~1200℃ 온도로 구워 제작하는 전통 건축부재인데 과거에 주로 궁궐, 절 건축 등에 이용될 만큼 단단한 것이 특징이다. 이용된 자재만 봐도 관리의 용이성에 신경 쓴 시공사의 섬세함을 알 수 있다. 외벽의 중심부는 백토로 미장 마감해 화사하면서 세련미를 더했다. 내부는 황토 미장을 위주로 하고 사람이나 사물에 부딪히는 하단부만 홍송 루버와 한지를 시공했다. 서까래를 노출한 천장도 홍송 루버를 설치해 황토가 부스러져 떨어지는 것을 막았다. "공사할 때 자주 와 보지도 못했는데 완공하고 보니 아주 미세한 곳까지 꼼꼼하게 처리돼 있더라고요. 경험 많은 시공사라 그런지 어디에서 하자가 발생하고 어떻게 그것을 막는지 노하우도 확실하고요. 수시로 사후관리도 해준다니까요."기자가 취재 간 날에도 집은 여기저기에 아직 마르지 않은 황토 자국이 선명했다. 김 씨가 집을 비운 사이에 황토가 갈라진 부위를 채워주고 간 것. 이런 시공사의 배려 덕분에 그는 집에 자주 내려와 보지못해도 관리에 대한 걱정은 없다고 했다. 습도 조절하고 악취 없애는 황토 효능아들은 미국 유학 중이고 딸은 서울에서 직장 생활을 하기에 부부는 집 규모를 최소화할 생각이었다. 그런데 김 사장이 가슴이 탁 트이는 개방감 있는 집을 제안하면서 결과적으로 천장 고가 6.5m 가량 오픈된 복층 집이 완성됐다.1층에 안방과 황토방이 있고 2층에는 손님방이 하나 있는데 여기에는 미닫이문으로 연결된 비밀스러운 다락방까지 덤으로 딸렸다."황토집은 사시사철 쾌적하고 굳이 밖에 나가지 않아도 집에서 자연을 느낄 수 있어요. 또 어느 집이든 그 집만의 특유한 냄새가 있잖아요. 황토집은 그게 없어요. 이 집을 짓고 난 후에 한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냄새를 빨아들이는 황토의 특성에 대한 실험이 딱 나오더라고요. 흙이 숨을 쉬기 때문에 통풍이 잘 돼서 습도 조절은 물론 신선한 공기를 유지한다고요. 제가 몸소 체험하고 있다니까요." * 얼마 전 김 씨 부부는 2주 만에 내려온 집의 거실 창문 앞에 죽어 있는 새 한 마리를 발견했다. 아무리 오래 집을 비워도 커튼을 치지 않으니 새가 창문이 있는지도 모르고 냅다 달려든 것이다. "집지을 때 가장 궁금한 게 남들은 어떻게 지었나거든요. 혹여 우리 집 구경하고 싶은 사람들을 위해 커튼은 안 쳐요. 몰래 구경하는 재미도 쏠쏠하거든요. 제가 그래 봐서 알지요." 글 한송이 기자 사진 송제민 기자
-
- 주택&인테리어
- 전원&단독주택
-
[건강한 집] 흙집의 꿈, 20년 만에 현실로 제천 148.5㎡(45.0평) 복층 목구조 황토집
-
-
[건강한 집] 시공사의 오랜 노하우로 암팡지게 지은 제천 112.2㎡(34.0평) 복층 목구조 황토집
- 건축정보· 대지면적 : 1039.5㎡(315.0평)· 건축면적 : 112.2㎡(34.0평). 1층-99.0㎡(30.0평) 2층-13.2㎡(4.0평)· 건축형태 : 복층 목구조 황토집· 외벽마감 : 황토미장, 치장벽돌, 미송 사이딩· 지 붕 재 : 아스팔트 슁글· 내벽마감 : 황토미장, 한지, 미송 루버, 이미지월-황토석· 바 닥 재 : 강화마루, 한지장판· 난방형태 : 심야전기보일러, 안방-구들난방 겸용· 식수공급 : 상수도· 설계 및 시공 : 초원황토주택 031-987-7322, 011-328-2354 www.cwhouse.co.kr 경기도 지역에 전원주택을 짓고 있는 한 건축주가 충북 제천시 백운면 애련리 백운전원마을에 와 보고 "이런 곳이 있는 줄 알았으면 예다 지었지"라며 그 지세에 감탄을 했다 한다. 그는 현재의 전원주택지를 선정하고 집짓는 과정에서 풍수지리학 이론을 접목했는데 본인의 식견에 비추어보면 백운전원마을이 조성된 터는 풍수지리학 상 상당히 매력적인 곳이라는 설명이다. 남향받이인 이 단지의 안산案山은 천등산줄기로 천등산은 예부터 인근 지등산 인등산과 함께 천天 · 지地 · 인人을 갖춘 신령스런 곳으로 여겼다. 그랬기에 단군이 하늘에 제사 지내던 성소로 쓰이기도 했다. 9월 초, 마을의 모습을 어느 정도 갖춰가고 있는 백운전원마을에는 7동의 황토집이 완공되었거나 시공중이었는데 모두 초원황토주택이 맡았다. 그 가운데 올해 3월 착공, 7월 완공하고 입주한 윤석발 씨의 복층 목구조 황토집을 찾았다. 안방, 거실/주방, 방의 지붕을 분리해 지붕선의 다채로움과 아기자기한 입면을 내는 이 집은 겉으로 보기에 담박하기만 하나 따지고 보면 사용자 입장에서 세심하게 시공돼 암팡지다. 윤석발(53세) 씨의 주택은 단지 내에서도 남쪽 산등성이가 편안하게 조망되는 곳에 위치하고 덱 위에 서면 사방 산줄기의 호위를 받으며 오밀조밀 마을을 이룬 애련리 일대가 한눈에 들어와 가슴마저 시원하다. 단지 뒤쪽, 즉 북편으로는 과거시험을 준비하는 박달과 아랫마을 금봉의 애달픈 전설이 전해 내려오는 박달재가 있는 시랑산이 받치고 있다.윤 씨는 수원시에서 아파트 생활을 하는 가운데 늘 전원생활을 동경해 왔다. 더 늦기 전에 전원행을 실천에 옮겨야겠다고 판단했을 때마침 전원마을 페스티벌이 개최됐다. 지자체가 추진하는 전원주택단지를 둘러보며 '이거면 되겠다'싶었다."부지를 알아보러 다니려면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드는 데다 단독 필지에 전원주택을 지으면 원주민들의 텃새가 있거나 외로울 수도 있겠다 싶었지요. 지자체가 분양하는 전원마을을 보고 개인적으로 택지를 마련하는 것보다 단지에 집 짓는 편이 훨씬 손쉽고 여러모로 낫겠다 싶었어요."두 개의 단지를 두고 고민하다 연고도 없는 제천시의 전원마을을 선택하게 된 동기는 보통 다른 단지는 200여 평의 필지로 구획되는데 제천시 백운전원마을은 315평(주차장 및 도로 포함 470평)이었다. ' 전원생활에는 넓은 마당이 제격'이라 여기고 텃밭가꾸기의 재미를 맛보고 싶었던 윤 씨에게 200평으로는 부족했다.기자가 방문한 9월 초 어느 정도 마을의 모습을 갖춰가고 있는 백운전원마을은 지난해 건축 공사가 시작돼 올해 안으로 30동 모두 완성될 예정이라 했다. 윤 씨는 도시 이주민을 입주 대상으로 하다 보니 입주민들이 연배가 비슷하고 그간 전원생활을 동경해 왔다는 입장에서 서로 잘 통해 쉽게 친해질 수 있는 점도 지자체 전원마을의 장점이라고 했다. 믿음직스런 생황토로 깐깐하게 지은 집집터 마련 후 윤석발 씨의 고민은 건축으로 옮겨갔다. 건축 형태로는, 친환경성, 건강성 그리고 어릴적 살던 흙집에 대한 그리움을 채워주는 목구조 황토집으로 이미 결정된 터였다. 그런데 업자들을 통해 알아보니 하나같이 평당 시공비가 400만 원 이상 들어 그 미만을 계획한 윤 씨의 예산과 맞질 않았다. 그러던 중 아랫마을 이국진(66세) 씨의 황토집을 보고 첫눈에 반해 그 역시 초원황토주택에 시공을 맡겼다. 초원황토주택에서 직접 생산하는 생황토 제품이 믿음직스러울 뿐 아니라 저렴한 시공비가 마음에 쏙 들었던 것."백운전원마을 다음 카페에 같은 애련리에 있는 황토집 사진이 올려져 있더라고요. 그걸 보고 집 구경을 했는데 집과 시공비가 우선 마음에 들었고 집을 시공한 김용완 사장님과 상담해 보니 대화가 통하고 직원들도 성실하고 믿음이 가서 바로 계약했어요. 집을 잘 짓는 것도 중요하지만 짓는 사람의 인품도 중요하다고 생각해요."소비자가 믿고 쓸 수 있는 황토 건자재를 찾기 어려운 가운데 생산과정을 대중에게 공개할 정도로 품질에 신뢰를 얻고 있는 초원황토주택의 생황토로 만든 벽돌을 쌓아 벽체를 만들고 실내외 마감은 황토 미장했다. 외벽 하부는 벽돌과 미장재가 외부 환경에 훼손될 것을 감안해 치장벽돌을 120㎜ 정도 높이로 시공했고, 2층 높이의 상부는 추후 황토미장 벽면의 보수 공사가 까다로우므로 미송 사이딩으로 마감했다.내부 벽면은 황토 미장 후 하단부를, 거실은 루버로 방은 한지로 마감했다. 이처럼 시공한 까닭은 사람몸이 자주 닿는 부분으로 황토가 묻어나오거나 쓸릴 수 있으므로 예방 목적에서다.안방에 설치한 구들에 들어간 구들장은 일반적으로 쓰는 화강암 대신 초원황토주택에서 개발한 황토구들장(가로 300㎜× 세로 450㎜×두께 50㎜)으로 했다. 황토에 석회, 우뭇가사리, 조개껍데기 등을 섞어 만든 황토구들장은 장방형으로 네모반듯하게 생겨 부정형의 화강암에 비해 시공이 편리하고 더 저렴한 것이 장점이다. 김용완 대표는 시공이 까다로운 데다 인부를 고용하면 일당 20만 원 정도가 드는 화강암을 대체할 실속 있는 구들장에 대한 필요성을 느껴 황토구들장을 개발했다고 한다. 황토구들장 개발 후 10년간시공해 왔는데 그간 하자가 없었고 바닥 난방에 효과적이라고 평가 받았다. 게다가 건축 박람회에서 선보인 후 다른 업체들도 황토구들장을 생산₩판매하는 것을 보며 초원황토주택의 황토구들장 인기를 실감했다고. * 윤석발 씨의 집보다 앞서 지난해 8월경 완공한 이국진씨의 집은 본의 아니게 초원황토주택의 견본주택이 됐다.같은 마을에 30가구 규모의 전원주택단지가 조성되면서 윤 씨를 비롯해 단지 입주자들이 이 씨와 같은 집을 짓겠다고 우르르 구경 온 것. 이 씨는 도시 살 때처럼 문을 꼭 닫지 않았다. 시공사와의 만남부터 건축 과정 그리고 사후 관계성까지 모두 만족스럽게 집을 지은 경험담을 알리고 싶다는 마음이 먼저 달려가 손님들에게 문을 활짝 열어주었기 때문이다.글 박지혜 기자 사진 서상신 기자
-
- 주택&인테리어
- 전원&단독주택
-
[건강한 집] 시공사의 오랜 노하우로 암팡지게 지은 제천 112.2㎡(34.0평) 복층 목구조 황토집
집짓기 정보 검색결과
-
-
공업화 주택 현황과 활용 사례, 전문가가 제안하는 두 가지 방향 (2-1)
- 집도 품질로 평가받아야 한다“주택의 공업화는 일정한 품질의 주택생산을 제1목표로 삼아야 한다”최근 목조 주택 건설시장에서 공업화 공법(모듈러 공법)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 공법은 골조 또는 골조에 단열, 방수와 방습 또는 더 나아가 내화와 관련된 공정을 공장에서 제조해, 현장에서 최소한의 인력으로 단기간에 조립해 세우는 시공방법이다. 다양한 패널 재료를 사용하는, 소위 패널 조립식 공법과 모듈러 공법 등이 널리 알려진 공업화 공법 중 하나고 OSC(Off Site Construction), 프리패브(Prefab), 패널 라이징(panelising), 프리컷(Pre-Cut) 등 다양한 개념들이 사용되고 있다. 진행 노철중 기자글 강태웅(케이스종합건축사사무소 대표)자료 케이스종합건축사사무소 031-8067-7118 www.case-archi.com ▲ 용인시 처인구 메이플주택단지 내 주택들에 대한 품질 표시 정보 공업화 공법이 건설 현장에서 주목을 받는 이유는 저 에너지 사용과 환경보호를 위해 탄소 사용을 줄이는 것이 세계적으로 중요한 이슈로 등장했고, 점차 고급 기술인력을 구하기가 어려워져 현장 시공의 품질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현장 안전사고의 증가로 인한 부정적인 사회적 이슈도 한몫한다. 이러한 이슈로 인해 공업화 공법이 주택 건설시장에서 보편화되는 것은 좋은 일이지만 소비자가 얻는 것은 무엇일까. 이 점을 짚어볼까 한다. 메이플 주택단지 내 15번째 주택. 차분한 색의 점토벽돌 타일로 마감된 외벽에 눈썹지붕을 남측에 매달고 서측에 노천탕을 계획했다. HOUSE DATA위치 경기 용인시 처인구 메이플 주택단지대지면적 480㎡(145.2평)건축면적 83.16㎡(25.16평)연면적 161.29㎡(48.79평, 다락 포함) 거실 공간은 온전한 사각형으로 설계해 가구의 배치를 통해 공간의 성격을 규정하게 했다. 공업화 공법의 단위 유닛은 3050mm로 환기장치와 시스템 에어컨을 설치하고도 충분한 층고를 유지한다. 부엌가구를 11자로 배치해 효율을 높였고 거실 쪽으로 창을 내어 가족과의 소통은 물론 음식의 운반도 수월하게 계획했다. 공업화 공법의 결과는 제품공업의 사전적 의미는 ‘농업, 임업, 어업, 광업 등을 통해 생산된 1차 재료를 가공해 제품을 생산하는 일’이다. 이렇게 제품을 만드는 일을 제조업이라고도 한다. 제조업은 수공업으로 시작해 증기기관의 힘을 이용한 1차 산업혁명, 전기모터를 사용한 2차 산업혁명 그리고 IT를 결합한 3차 산업혁명으로 발전하며, 자동화 생산의 단계에까지 이르렀다. 제조의 수단과 방법은 변해왔지만, 공업의 핵심 개념이 ‘2차 가공을 통한 제조’라는 것은 변함이 없다. 따라서 건설에 공업화 공법을 도입한다는 것은 건물을 세우는 과정을 제조의 과정으로 여기고 그 결과물을 제품의 관점에서 판단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이 글에서 주장하고자 하는 핵심이다. 그렇다면 제조 과정을 거친 제품의 미덕은 무엇일까.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과정을 통한 균질한 품질이다. 제조는 수작업으로 시작했고, 동력을 사용해 좀 더 빨리 많이 생산할 수 있었고, 더 많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게 되면서 오류가 적은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됐다. 이로 인해 생산하기 전에도 제품의 질을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게 됐다. 이것은 공업화 공법의 미덕이다. 이해하기 쉬운 사례를 들면, 자동차라는 제품의 미덕은 사고에도 승객을 지켜줄 튼튼한 골격을 갖춰야 하고, 빠르게 달리거나 신속히 멈출 수 있는 동력 체계와 감속 능력이 중요하다. 좋은 연비로 인한 경제적인 유지 보수비는 필수조건이다. 이 모든 품질을 생산하기도 전에 예측하고 홍보한다. 대량생산은 공기를 줄이고 생산량을 늘려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나아가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더 좋은 품질의 제품을 생산한다는 장점도 있다.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의 일부를 열어 시각의 답답함을 덜었다. 건축이 지향할 공업화 공법건축에서 공업화 공법은 새로운 방법이 아니다. 이미 20세기 초, 유럽의 일부 건축가들은 건축을 제조라는 관점으로 봐야 한다는 공통된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1925년 독일 스투트가르트의 바이젠호프라는 언덕에 기획되고 지어진 건축역사상 인류 첫 주택전시의 기획의도, 그리고 1928년 스위스에서 열린 인류 최초의 국제 건축가 대회인 CIAM 선언문에서 건축가들은 건축의 공업화를 주장했었다. 제조업의 개념을 건축에 도입해야 한다는 것이다. 건축의 공업화는 공업의 역사보다 한 세기 정도 늦게 시작했지만, 그 이후 한 세기 동안 발전되어 온 시공방법이자 시공 태도다. 따라서 주택의 공업화는 앞서 언급한 제조와 제품의 미덕을 당연히 추구해야 한다. 공업화를 통해 빠르게 세워 공기가 단축되고 공사비가 낮아지는 것은 당연하다. 기후에 영향을 많이 받는 건설에서 공기의 단축은 분명한 장점이다. 하지만 시공자와 의뢰인 모두 가장 중요한 미덕을 놓쳐서는 안되는데, 그것은 바로 제조의 결과인 제품, 건물의 질이다. 주택의 공업화는 일정한 품질의 주택생산을 제1목표로 삼아야 한다. 2층의 복도와 계단을 병치하여 공간의 변화를 주었고 다락으로 올라가는 계단 끝에 뚫어놓은 천창은 시각적으로 흥미롭다. 주택의 품질지표주택의 품질을 나타낼 수 있는 지표에는 무엇이 있을까? 건축법에는 규정되어 있지 않다. 건축법에 규정된 것은 성능 규정과 시방규정일 뿐 건물의 품질을 규정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성능 규정과 시방규정을 따랐다고 해도 그것이 좋은 품질로 이어지지도 않는다. 최소한의 규칙과 기준일 뿐이다. 좋은 품질은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제조의 과정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필자는 주택이라는 제품의 품질을 4가지 지표로 이야기하려고 한다. 바로 에너지 효율, 골조의 품질, 기밀도 그리고 실내 공기의 질이다. 자녀방의 층고는 상당히 높다. 공간의 높이와 창의성을 비례한다는 공간 이론을 반영한 결과다. 북측에 낮은 창을 두고 앉을 수 있는 수납가구를 설계하여 자연스럽게 대지 옆 낮은 동산을 응시하게 했다. 1 에너지 효율에너지 효율은 가장 달성하기 쉬운 지표다. 에너지 효율은 제조 생산에 들어간 재료와 설비의 물성·물량·성능으로 예측 판단이 가능하다. 물론 실제 사용 시 에너지 효율과는 다를 수 있다. 왜냐하면 보통 에너지 효율을 산정할 때 사용자 수, 실내 온도, 습도 등의 기준을 설정해 놓고 한다. 어느 정도 주택의 에너지 성능을 예측할 수는 있지만, 실제 거주할 거주자에 따라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은 달라질 수밖에 없다. 2 골조의 품질골조의 품질은 두 번째로 달성하기 쉬운 지표다. 모든 합법적인 건물은 구조설계를 한다. 이미 건물의 골조품질은 예측이 되어 있다. 구조설계대로 성실하게 지으면 된다. 목조주택에 사용되는 재료는 기성 재료다. 따라서 더더욱 골조의 품질은 쉽게 예측이 가능하고 달성도 쉽다. 필자는 주택 시공의 공업화에 가장 적합한 재료를 나무라고 생각한다. 인류가 집을 짓기 시작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재료는 한정적이었다. 형상이나 물성이 조금씩 다를 수는 있겠으나 기본적으로 나무, 철 그리고 흙이다. 흙은 콘크리트라고도 할 수 있겠다. 이 중 비교적 일정한 품질의 재료는 시공 시 물을 사용하지 않는 재료인 철과 나무 정도다. 콘크리트는 좋은 재료지만 물과 여러 가지 골재를 섞어 비율을 맞춰야 하고, 양생이라는 숙성과정을 거치기에 손이 많이 가는 재료다. 균질한 품질을 얻기 위해서는 많은 관리와 노력이 수반된다. 철도 좋은 재료지만 생산과정에서 탄소를 많이 내뿜고 가격도 높고, 무거워 다루기도 어렵다. 건물에 사용되는 목재는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한 기성제품이고 가볍고 다루기도 쉽다. 더욱이 관리만 잘하면 영원히 생산 가능한 자원이다. 철과 나무는 공장에서 매뉴얼대로 만들기 때문에 공업화 공법에서 골조의 품질을 유지하기가 쉽다. 현장 조립 시 품질의 차이가 발생할 수는 있으나, 인력으로 하기 때문에 이 역시 공업화 공법에서는 치밀하게 매뉴얼화할 수 있어 현장 시공에 비해서는 오류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3 기밀도공장에서 생산한 골조의 정밀함, 현장에서 정확한 조립 그리고 방수·방습을 위한 시공과 단열이 신중하게 조합되어 구축되면 좋은 기밀도가 측정된다. 기밀도는 집에 웃풍이 얼마나 발생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정도를 가리킨다. 공중파 주택관련 방송에서도 언급해 포탈 검색순위에 올라갈 만큼 꽤 알려진 지표이지만, 가장 달성하기 어려운 지표기도 하다. 기밀도가 높은 집일수록 실내 거주환경에 변화를 주는 변수가 적기 때문에 사용자의 뜻대로 실내 거주환경을 조성할 여지가 많아진다. 우리가 공업화 제품을 쓰는 이유는 품질의 일관성이 편의성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기밀도가 높다는 것은 집안으로 미세·초미세 먼지, 차갑거나 뜨거운 공기와 수증기가 들어오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집 밖의 환경이 집안의 환경에 영향을 덜 준다는 의미고, 집안의 공기질이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집안의 공기질이 일정하다는 것은 역으로 단점도 있는데, 수시로 창을 열지 않고서는 실내공기의 질을 개선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창을 열면 에너지를 뺏기고 각종 먼지들이 유입된다. 기밀도가 높은 집은 에너지를 뺏기지 않으면서 환기를 하는 ERV (Energy Recovery Ventilation system, 에너지 환수 환기장치)가 필수로 설치되어야 한다. 환기 방법은 창 환기와 ERV, 두 가지로 결정되어 있는데, 이것은 환기 방법과 환기 시간은 결정권이 온전히 사용자에게 있다는 의미다. 사용자가 거주환경을 예측하고 의도대로 조성할 수 있다. 4 실내 공기 질마지막 지표다. 기밀도가 높은 집일수록 실내 공기질을 통제하기가 쉽다. 온도와 습도는 생활습관에 따라 개선 가능한 공기질 지표이나 이산화탄소농도,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먼지량은 개선하기가 어려운 지표다. 특히, 이산화탄소농도는 사용자가 끊임없이 방출하고 있어서 계속 증가한다. 취침 시에는 환기가 안 되어 속수무책이다. 일상용품과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도 끊임없는 환기가 방법이다. 먼지는 실내에서도 발생하지만 실외에서 유입되기도 한다. 먼지의 실외 유입은 기밀도가 높으면 쉽지 않다. 실내 먼지는 환기 또는 공기청정기로 대처할 수 있다. 결국 기밀도와 환기장치는 하나로 묶여 작동해야 하고 좋은 실내 공기질이 그 결과다. 필자가 제안한 주택의 품질을 판단하는 4가지 지표는 모두 수치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공업화 공법으로 설계되고 시공 계획이 확정된 주택은 정확하지는 않지만 범위 내로 예측 가능해야 한다. 공업화 공법이 지향해야 하는 지점이 바로 여기에 있다. 공업화는 싸고 빠른 집이 목표가 아니다. 현장 공사기간을 현저히 줄여 환경 폐기물과 안전사고를 낮출 뿐만 아니라, 더 중요한 것은 품질 예측이 가능해야 한다. 개별 제품(주택)의 품질이 일정하고 이로 인해 건강한 거주 환경을 제공하는, 제품으로서 집을 생산하는 것, 이것이 공업화 공법이 추구해야 할 방향이고 의뢰인들이 설계자와 시공자에게 요구해야 할 사항이다. 강태웅(케이스종합건축사사무소 대표)단국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교수로서 2017년 학내벤처기업으로 ㈜케이스종합건축사사무소를 설립, 목조공업화 공법에 관련한 특허를 출원등록해 기술개발과 적용에 힘쓰고 있다. 우리나라 최고 건축 관련 학회인 대한건축학회와 전문학회인 한국건축시공학회의 목조건축위원회 위원장으로 목조건축활성화를 위해 노력중이다.031-8067-7118 kangtaewoong@gmail.com
-
- 집짓기 정보
- 건축정보
-
공업화 주택 현황과 활용 사례, 전문가가 제안하는 두 가지 방향 (2-1)
-
-
탈 현장 건축 시대가 도래한다!
- OSC(Off-Site Construction)는 건축물 구조체와 내외장재, 인테리어 등을 외부(off-site)에서 생산해 현장에서 조립·설치하는 건축방식을 말한다. 구조재 등을 표준화, 부품화해 효율성을 높이고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건설폐기물도 줄일 수 있다. 글 박창배 기자 사진 전원주택라이프 DB 포스트 코로나 시대 현장에서 노동력 부족과 지속 가능한 건축 등의 문제를 해결할 대안으로 OSC(Off-Site Construction) 시공 방식이 주목받고 있다. 기능인력 공급(Quantity) 부족, 기능 수준(Quality) 저하, 기능인력 고령화 및 숙련공 부족 문제 등으로 현장 생산에 의존하기 어려운 한계에 직면해 공장 생산 방식 도입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실제 건설업의 55세 이상 취업자 비중은 60% 수준이며(통계청, 2018), 건설업 노동생산성 지수(MGI, 2015)는 18.7로서 스페인(42.9), 프랑스(37.1), 독일(32.1) 및 영국(30.4) 등에 크게 못 미치는 실정이다. 그래서 ‘미래 핵심 건설 기술’이 부각되고 있는데, 그중 OSC가 대안으로 떠오른다. 세계 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2018)에서도 미래 산업에 적용되어야 할 세 가지 시나리오를 제시했는데, 그중에 하나는 프리패브 및 모듈러 공법으로 공장 생산되는 건축에 관련된 시나리오였다. 이 시나리오는 건설을 빠르고 비용 효율적으로 만들기 위해 조립식 프로세스와 맞춤형 모듈 설계가 필요하다는 내용이었다. OSC는 건축물 구조체와 내외장재, 인테리어 등을 외부(off-site)에서 생산해 현장에서 조립·설치하는 건축방식을 말한다. 현장 생산이 줄어드는 만큼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시공 생산성과 안전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OSC 방식에는 ‘모듈러(modular), PC(precast concrete), 패널라이징(panelizing)’ 공법이 있다. 현장 시공 방식과 가장 차별화되는 부분은 생산환경이 통제된 공장에서 부재를 생산해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상·기후 등 외부 요인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현장의 기초공사와 병행해 구조물 제작이 가능해 공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현장 시공 방식과 비교해 공사기간 단축, 공사비 단축 효과는 물론 공사 과정에서 소음·분진이 적고, 폐기물도 덜 발생해 차세대 친환경 건설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모듈러(modular) 공법. 모듈러(modular) 공법. 국내 업계 동향최근 건설사에서 4차 산업혁명과 건설업의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혁신을 하고 있다. 특히, 미래 주택 및 건설 자동화의 인프라를 마련하기 위해 대기업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현대건설, GS건설, 대우건설, 포스코건설 등 대형 건설사들은 모듈러와 프리패브 공법 등의 첨단 기술을 활용하는 건설 추진팀을 신설했다. 그리고 LH 공사, SH공사, 지방 도시공사와 같은 공기업도 모듈러 건축사업을 발주하고 건축산업의 전면적인 혁신을 지원하고 있다. GS건설은 지난해 초 자동화 공정을 기반으로 한 유럽의 선진 모듈러 업체 2곳을 인수하면서 신사업 부문을 확장하는 동시에 모듈러주택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영국 소재의 철골(Steel) 모듈러 전문 회사 앨리먼츠사의 지분 일부와 폴란드 단우드사를 약 1800억 원에 사들였다. 유럽의 선진 모듈러 전문 회사 인수를 통해 해외 모듈러 시장을 선점하고, 각 전문 회사의 기술과 네트워크를 활용해 글로벌 모듈러 주택 강자로 도약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GS건설의 목조 모듈러주택 자회사 ‘자이가이스트’는 지난 2월 경기 하남 덕풍동 일원 262.4㎡ 규모의 부지를 매입했다. 이곳에 단우드의 기술을 적용한 조립식 목조주택을 시범적으로 짓고 모듈러 주택 사업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현대건설은 건축주택 OSC 팀을 정식으로 출범시켰다. 2020년 10월 발표한 ‘2025 전략’에서 그룹 차원에서 △ OSC △건설 자동화 △스마트 현장관리 △디지털 사업 관리 등 스마트 건설 분야의 선제적 투자로 중장기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이어 사내 TF 팀을 구성해 OSC 사업을 본격화했다. 포스코건설은 지난해 모듈러 건축 분야 전문건설사인 ㈜유창 등과 함께 성과 공유제 사업으로 철강재를 소재로 한 아파트 건설에 적합한 프리패브공법 개발에 성공했다. 아파트 옥탑, 재활용품 보관소, 욕실을 철골 모듈로 바꾸는 게 핵심이다. 지난달엔 SK건설이 현장 사무실을 모듈로 설치하는 등 그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 현대엔지니어링도 2012년부터 SH ·한국토지주택공사(LH)·한국건설기술연구원 등 공공기관과 공동연구와 다수의 OSC 국책연구 사업에 참여하는 등 모듈러 건축 분야에서 풍부한 기술을 축적해 왔다. 모듈러 건축기술 독자 연구개발에도 나서 현재까지 건설 신기술 1건, 특허 11건을 보유하고 있다. 중견 건설사도 모듈러 건축시장에 속속 진출하고 있다. 모듈러 건축 기술을 미래 건설시장의 핵심 기술로 판단한 코오롱글로벌은 수년간 관련 기술을 확보하는데 주력한 결과, 지난해 6월 자회사 ‘코오롱 모듈러스’를 설립하고 본격적으로 사업에 나섰다. 범양건영도 지난해 모듈러 건축 제조회사 ‘범양플로이’를 신설하고 모듈러 제작·시공 분야에 동참했다. 패널라이징(panelizing) 공법. 패널라이징(panelizing) 공법. 해외 업계 동향국외의 경우 일본, 중국, 유럽, 미국, 캐나다 등을 중심으로 모듈러 건축 시장이 형성돼 있다. 일본의 경우 1950~60년대에 이미 모듈러 공법에 대한 연구가 선행됐다. 현재는 2010년부터 임대주택을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돼 현재 일본의 프리패브(Prefabric : 공장에서 미리 지어 조립하는 방식) 주택은 전체 주택 시장의 34%(32조 5000억 원)에 달한다. 중국의 경우 공업화 주택이라는 이름으로 모듈러 건축시장에 대응하고 있다. 중국의 Broad Sustainable Building 사는 고층건물을 짓는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OSC로 30층 규모의 호텔을 단 15일 만에, 57층 규모의 건물을 19일 만에 시공한 사례가 있다. 미국의 대형 건설사들은 이미 수년 전부터 비용 절감과 공기 준수 이점 때문에 OSC 건설을 선택해 왔다. 모텐슨(Mortenson) 사는 2012년부터 OSC 방식을 통한 모듈화 공장제작을 통해 인건비를 절감하고 현장에서 필요한 노동력이 적어 사업 일정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기물 감소, 안전사고 우려 감소, 혼잡 감소 등 여러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한다. 목조주택 OSC 전문건설사인 ‘Katerra’사는 고객에게 주문받은 건물을 오프사이트로 생산해 현장에서 최종 조립한다. 건축과 정의 속도, 정밀도, 협업, 품질 등이 향상됐다고 한다. 이로써 2018년 소프트 뱅크에서 약 1조 원의 투자를 받은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했다. 캐나다 Landmark Building Solution 건설사는 대부분의 공장 생산과정이 자동화 설비와 작업자의 협력으로 이뤄진다. 일반 목조주택의 경우 설계→생산→현장 조립 과정이 5일 이내 완성된다는 설명이다. 싱가포르 Straits Construction Group은 PC 자동화 생산공장을 건설해, 48개 주택을 60명의 인력으로 10일 이내 건설함으로써 기존 현장 대비 작업자는 70%, 작업 기간은 절반으로 줄였다고 한다. 다만 OSC에 필요한 부품·유닛들을 정밀하게 제작하고 조립하기 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기술이 필요하다. 국내외 시장 규모국내에서 모듈러 관련 건설 사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공법이 적용된 1990년대부터 일부 적용됐으나, 시공기술력 부족, IMF로 인한 주택경기 침체, 경제성 미확보, 부실공사 등으로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2000년대에는 기능인력 부족 문제 해결, 건축물 품질 확보, 건설폐기물 절감 등을 위해 이동 및 재사용이 가능한 모듈러에 관련된 연구들이 수행됐다. 2003년 신기초등학교가 모듈러 공법의 시초였다. 이후 학교, 군사, 업무, 주거, 판매 시설 등 공공뿐만 아니라 민간부문까지 적용되면서 꾸준한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2012년에는 「주택 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칙」개정에 따라 공업화 주택이 공동주택으로 적용 가능하게 됐으며, 국가연구과제 수행과 LH, SH 발주물량을 중심으로 모듈러주택이 건설됐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에 따르면 국내 모듈러 시장은 2005년 약 150억 원, 2007년 약 90억 원, 2010년 약 410억 원, 2013년 약 1200억 원 규모로 증가해 왔고, 2020년에 최소 약 9,400억 원, 최대 약 3조 4000억 원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추정했다. 주요 외국의 OSC 건축시장은 미국 시장은 약 5조 5000억 원, 영국은 약 1조 3400억 원이며 목조 및 콘크리트 시장까지 포함할 경우 약 4조 200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또한 일본은 주로 단독 시장이며 순수 OSC 시장은 약 6조 5000억 원 규모 정도다. 문제점과 해결 과제모듈러 공법을 적용한 주거시설은 대부분 4층 이하의 단독 또는 다가구주택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모듈러주택이 공급된 초창기에는 대부분 민간주도로 사업이 진행됐다. 건설산업 내에서 모듈러 시장 확대가 당초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데에는 모듈러주택 설계와 시공에 대한 역량이 아직 전반적으로 미흡하다는 점, 일반 공동주택 대비 높은 원가와 공장 설비 선투자에 대한 부담, 기존 업역으로부터의 견제 등 다양한 원인이 제기돼 왔다. 중장기적으로 OSC 시공 방식의 전망은 좋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제조업과 융합된 방식이라는 점에서 OSC가 제대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풀어야 할 과제가 있다. 우선, OSC에 적합한 공공발주제도가 마련돼야 한다. 국내에서는 기존 모듈러 건축 사업이 주로 설계-시공 분리발주 또는 설계-시공 일괄발주(턴키)로 수행됐다. 모듈러의 법적 근거로는 주택법 제51조(공업화 주택의 인정 등)에 의한 공업화 주택 인정 제도로 한정되며, 실제 발주는 ‘공사 계약+물품구매’ 형태로 발주가 됐다. 반면, 미국, 영국, 싱가포르 등 주요 외국에서는 국내보다 다양한 방식(CM 등)으로 발주가 진행되고 있다. 모듈러 유닛에 대한 검측(Inspection)을 시행하거나 제조업체를 인증하는 제도들을 비교적 많이 운영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리고 현장에서 실질 시공을 책임지는 전문건설 업체들의 적극적인 시장 참여 유도가 필요하다. 전문건설 업체들은 모듈러의 주요 장애요인과 기회요인을 그림과 같이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주요 기회요인들을 살리기 위해서 어떻게 장애요인들을 극복할 것인가의 문제가 앞으로 OSC 산업 활성화의 중점 해결과제들이 돼야 할 것이다. 모듈러 주택은 앞으로 건축 효율성이 높아져 건축물의 대량생산이 가능할 거라는 기대를 사고 있다. 또 공장에서 설계되는 만큼 IT 기술 접목이 쉬워져 스마트홈서비스가 구축될 전망으로 보고 있다. ㈜스마트하우스 이영주 대표 모듈러 공법과 전원주택 코로나 팬데믹 이후 모듈러 전원주택의 인기가 더욱 상승하고 있다. 스마트하우스의 모듈러주택 브랜드인 ‘하루 홈’의 경우 6월 현재 기준으로 지금 주문을 받으면 4개월 후에나 제작에 착수할 수 있다.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할 때 주문량이 30~40% 늘었고, 올해만 하루 홈 100여 동 정도의 물량을 확보해놓았다. 전원주택의 경우 제작에 들어가면 1개월 이내에 완공 가능하다. 기초와 인허가 사항까지 포함하면 3개월 정도면 입주할 수 있다. 현장에서 시공하는 부분은 바닥재, 벽지, 그리고 외부 연결 부위와 데크 공사 등이고, 기간은 4~5일 정도다. 나머지 85% 정도는 공장에서 제작이 이뤄진다. 건축비는 날씨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자재 운반비, 인건비 등에서도 많이 절감되기 때문에, 20평 기준 동일한 자재를 사용한다고 할 경우, 현장 건축비에 비해 20~30% 정도 저렴하다. 일례로 하루 홈의 경우 단열재로 아이씬폼을 사용하는데, 공장에 장비가 있기 때문에 직원이 공장에서 단열재 작업을 하면 되지만, 현장 건축의 경우 단열재 장비를 현장으로 옮겨서 작업을 해야 한다. 운반비와 인건비가 추가는 것이다. 최근 들어 GS건설 등 대기업에서 모듈러주택에 관심을 갖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모듈러주택 시장은 더욱 활기를 띨 것으로 본다. 기술도 많이 발전할 것이다. 특히 GS건설은 모듈러 단독주택에까지 뛰어들었다. 대기업과 경쟁을 해야 한다는 불안감이 없지는 않지만, 우리는 10년 동안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우리만의 노하우를 가지고 있다. 예전에도 대기업에서 모듈러 단독주택에 뛰어들었다가 철수한 사례가 몇몇 있다. 그만큼 대기업이 관심 가질 정도로 전원주택 시장이 크지가 않다. GS건설의 경우 단독주택 중에서도 타운하우스, 다가구주택, 원룸, 오피스 등을 겨냥할 것으로 예상된다.
-
- 집짓기 정보
- 건축정보
-
탈 현장 건축 시대가 도래한다!
-
-
[21년 07월 특집 1] 탈 현장 건축시대가 도래한다!
- 탈 현장 건축시대가 도래한다! OSC는 건축물 구조체와 내외장재, 인테리어 등을 외부(off-site)에서 생산해 현장에서 조립·설치하는 건축방식을 말한다. 구조재 등을 표준화, 부품화해 효율성을 높이고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건설폐기물도 줄일 수 있다. 글 박창배 기자 사진 전원주택라이프 DB 포스트 코로나 시대 현장에서 노동력 부족과 지속 가능한 건축 등의 문제를 해결할 대안으로 OSC(Off-Site Construction) 시공방식이 주목받고 있다. 기능인력 공급(Quantity) 부족, 기능 수준(Quality) 저하, 기능인력 고령화 및 숙련공 부족 문제 등으로 현장생산에 의존하기 어려운 한계에 직면해 공장생산 방식 도입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실제 건설업의 55세 이상 취업자 비중은 60% 수준이며(통계청, 2018), 건설업 노동생산성 지수(MGI, 2015)는 18.7로서 스페인(42.9), 프랑스(37.1), 독일(32.1) 및 영국(30.4) 등에 크게 못 미치는 실정이다. 그래서 ‘미래핵심건설기술’이 부각되고 있는데, 그 중 OSC가 대안으로 떠오른다. 세계 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2018)에서도 미래 산업에 적용되어야 할 세 가지 시나리오를 제시했는데, 그 중에 하나는 프리패브 및 모듈러 공법으로 공장 생산되는 건축에 관련된 시나리오였다. 이 시나리오는 건설을 빠르고 비용 효율적으로 만들기 위해 조립식 프로세스와 맞춤형 모듈 설계가 필요하다는 내용이었다. OSC는 건축물 구조체와 내외장재, 인테리어 등을 외부(off-site)에서 생산해 현장에서 조립·설치하는 건축방식을 말한다. 현장생산이 줄어드는 만큼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시공 생산성과 안전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OSC 방식에는 ‘모듈러(modular), PC(precast concrete), 패널라이징(panelizing)’ 공법이 있다. 현장시공 방식과 가장 차별화되는 부분은 생산환경이 통제된 공장에서 부재를 생산해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상·기후 등 외부 요인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현장의 기초공사와 병행해 구조물 제작이 가능해 공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현장시공 방식과 비교해 공사기간 단축, 공사비 단축 효과는 물론 공사 과정에서 소음·분진이 적고, 폐기물도 덜 발생해 차세대 친환경 건설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국내 업계 동향 최근 건설사에서 4차산업혁명과 건설업의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혁신을 하고 있다. 특히, 미래 주택 및 건설 자동화의 인프라를 마련하기 위해 대기업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현대건설, GS건설, 대우건설, 포스코건설 등 대형 건설사들은 모듈러와 프리패브 공법 등의 첨단기술을 활용하는 건설 추진팀을 신설했다. 그리고 LH공사, SH공사, 지방도시공사와 같은 공기업도 모듈러 건축사업을 발주하고 건축산업의 전면적인 혁신을 지원하고 있다. 모듈러(modular) 공법 GS건설은 지난해 초 자동화 공정을 기반으로 한 유럽의 선진 모듈러 업체 2곳을 인수하면서 신사업 부문을 확장하는 동시에 모듈러주택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영국 소재의 철골(Steel) 모듈러 전문회사 앨리먼츠사의 지분 일부와 폴란드 단우드사를 약 1800억원에 사들였다. 유럽의 선진 모듈러 전문회사 인수를 통해 해외 모듈러 시장을 선점하고, 각 전문회사의 기술과 네트워크를 활용해 글로벌 모듈러 주택 강자로 도약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GS건설의 목조 모듈러주택 자회사 ‘자이가이스트’는 지난 2월 경기 하남 덕풍동 일원 262.4㎡ 규모의 부지를 매입했다. 이곳에 단우드의 기술을 적용한 조립식 목조주택을 시범적으로 짓고 모듈러 주택 사업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현대건설은 건축주택OSC팀을 정식으로 출범시켰다. 2020년 10월 발표한 ‘2025 전략’에서 그룹 차원에서 △OSC △건설 자동화 △스마트 현장관리 △디지털 사업관리 등 스마트 건설 분야의 선제적 투자로 중장기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이어 사내 TF팀을 구성해 OSC 사업을 본격화했다. 포스코건설은 지난해 모듈러 건축 분야 전문건설사인 ㈜유창 등과 함께 성과공유제 사업으로 철강재를 소재로 한 아파트 건설에 적합한 프리패브공법 개발에 성공했다. 아파트 옥탑, 재활용품 보관소, 욕실을 철골 모듈로 바꾸는 게 핵심이다. 지난달엔 SK건설이 현장 사무실을 모듈로 설치하는 등 그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 현대엔지니어링도 2012년부터 SH·한국토지주택공사(LH)·한국건설기술연구원 등 공공기관과 공동연구와 다수의 OSC 국책연구사업에 참여하는 등 모듈러 건축 분야에서 풍부한 기술을 축적해 왔다. 모듈러 건축기술 독자 연구개발에도 나서 현재까지 건설 신기술 1건, 특허 11건을 보유하고 있다. 모듈러(modular) 공법 중견 건설사도 모듈러 건축시장에 속속 진출하고 있다. 모듈러건축 기술을 미래 건설시장의 핵심 기술로 판단한 코오롱글로벌은 수 년간 관련 기술을 확보하는데 주력한 결과, 지난해 6월 자회사 ‘코오롱모듈러스’를 설립하고 본격적으로 사업에 나섰다. 범양건영도 지난해 모듈러 건축 제조회사 ‘범양플로이’를 신설하고 모듈러 제작·시공 분야에 동참했다. 해외 업계 동향 국외의 경우 일본, 중국, 유럽, 미국, 캐나다 등을 중심으로 모듈러 건축 시장이 형성돼 있다. 일본의 경우 1950~60년대에 이미 모듈러 공법에 대한 연구가 선행됐다. 현재는 2010년부터 임대주택을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돼 현재 일본의 프리패브(Prefabric : 공장에서 미리 지어 조립하는 방식) 주택은 전체 주택 시장의 34%(32조5000억원)에 달한다. 중국의 경우 공업화 주택이라는 이름으로 모듈러 건축시장에 대응하고 있다. 중국의 Broad Sustainable Building사는 고층건물을 짓는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OSC로 30층 규모의 호텔을 단 15일 만에, 57층 규모의 건물을 19일 만에 시공한 사례가 있다. 패널라이징(panelizing) 공법 미국의 대형 건설사들은 이미 수년전부터 비용절감과 공기준수 이점 때문에 OSC건설을 선택해 왔다. 모텐슨(Mortenson)사는 2012년부터 OSC방식을 통한 모듈화 공장제작을 통해 인건비를 절감하고 현장에서 필요한 노동력이 적어 사업일정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기물 감소, 안전사고 우려 감소, 혼잡 감소 등 여러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한다. 목조주택 OSC 전문건설사인 ‘Katerra’사는 고객에게 주문 받은 건물을 오프사이트로 생산해 현장에서 최종 조립한다. 건축과정의 속도, 정밀도, 협업, 품질 등이 향상됐다고 한다. 이로써 2018년 소프트 뱅크에서 약 1조원의 투자를 받은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했다. 패널라이징(panelizing) 공법 캐나다 Landmark Building Solution건설사는 대부분의 공장 생산과정이 자동화 설비와 작업자의 협력으로 이뤄진다. 일반목조주택의 경우 설계→생산→현장조립 과정이 5일 이내 완성된다는 설명이다. 싱가포르 Straits Construction Group은 PC자동화 생산공장을 건설해, 48개 주택을 60명의 인력으로 10일 이내 건설함으로써 기존 현장 대비 작업자는 70%, 작업기간은 절반으로 줄였다고 한다. 다만 OSC에 필요한 부품·유닛들을 정밀하게 제작하고 조립하기 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기술이 필요하다. 국내외 시장 규모 국내에서 모듈러 관련 건설사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공법이 적용된 1990년대부터 일부 적용됐으나, 시공기술력 부족, IMF로 인한 주택경기 침체, 경제성 미확보, 부실공사 등으로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2000년대에는 기능인력 부족문제 해결, 건축물 품질확보, 건설폐기물 절감 등을 위해 이동 및 재사용이 가능한 모듈러에 관련된 연구들이 수행됐다. 2003년 신기초등학교가 모듈러 공법의 시초였다. 이후 학교, 군사, 업무, 주거, 판매 시설 등 공공뿐만 아니라 민간부문까지 적용되면서 꾸준한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2012년에는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칙」개정에 따라 공업화주택이 공동주택으로 적용 가능하게 됐으며, 국가연구과제 수행과 LH, SH 발주물량을 중심으로 모듈러주택이 건설됐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에 따르면 국내 모듈러 시장은 2005년 약 150억원, 2007년 약 90억원, 2010년 약 410억원, 2013년 약 1200억원 규모로 증가해 왔고, 2020년에 최소 약 9,400억원, 최대 약 3조4000억원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추정했다. 주요 외국의 OSC 건축시장은 미국시장은 약 5조5000억원, 영국은 약 1조3400억원이며 목조 및 콘크리트 시장까지 포함할 경우 약 4조2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또한 일본은 주로 단독시장이며 순수 OSC시장은 약 6조5000억원 규모 정도다. 문제점과 해결 과제 모듈러공법을 적용한 주거시설은 대부분 4층 이하의 단독 또는 다가구주택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모듈러주택이 공급된 초창기에는 대부분 민간주도로 사업이 진행됐다. 건설산업 내에서 모듈러 시장 확대가 당초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데에는 모듈러주택 설계와 시공에 대한 역량이 아직 전반적으로 미흡하다는 점, 일반 공동주택 대비 높은 원가와 공장설비 선투자에 대한 부담, 기존 업역으로 부터의 견제 등 다양한 원인이 제기돼 왔다. 중장기적으로 OSC 시공방식의 전망은 좋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제조업과 융합된 방식이라는 점에서 OSC가 제대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풀어야 할 과제가 있다. 우선, OSC에 적합한 공공발주제도가 마련돼야 한다. 국내에서는 기존 모듈러건축 사업이 주로 설계-시공분리발주 또는 설계-시공일괄발주(턴키)로 수행됐다. 모듈러의 법적 근거로는 주택법 제51조(공업화주택의 인정 등)에 의한 공업화주택 인정 제도로 한정되며, 실제 발주는 ‘공사계약+물품구매’ 형태로 발주가 됐다. 반면, 미국, 영국, 싱가포르 등 주요 외국에서는 국내보다 다양한 방식(CM 등)으로 발주가 진행되고 있다. 모듈러 유닛에 대한 검측(Inspection)을 시행하거나 제조업체를 인증하는 제도들을 비교적 많이 운영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리고 현장에서 실질시공을 책임지는 전문건설업체들의 적극적인 시장참여 유도가 필요하다. 전문건설업체들은 모듈러의 주요 장애요인과 기회요인을 그림과 같이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주요 기회요인들을 살리기 위해서 어떻게 장애요인들을 극복할 것인가의 문제가 앞으로 OSC 산업 활성화의 중점 해결과제들이 돼야 할 것이다. 모듈러 주택은 앞으로 건축 효율성이 높아져 건축물의 대량생산이 가능할 거라는 기대를 사고 있다. 또 공장에서 설계되는 만큼 IT기술 접목이 쉬워져 스마트홈 서비스가 구축될 전망으로 보고 있다. ㈜스마트하우스 이영주 대표 모듈러 공법과 전원주택 코로나 팬데믹 이후 모듈러 전원주택의 인기가 더욱 상승하고 있다. 스마트하우스의 모듈러주택 브랜드인 ‘하루홈’의 경우 6월 현재 기준으로 지금 주문을 받으면 4개월 후에나 제작에 착수할 수 있다.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할 때 주문량이 30~40% 늘었고, 올해만 하루홈 100여 동 정도의 물량을 확보해놓았다. 전원주택의 경우 제작에 들어가면 1개월 이내에 완공 가능하다. 기초와 인허가 사항까지 포함하면 3개월 정도면 입주할 수 있다. 현장에서 시공하는 부분은 바닥재, 벽지, 그리고 외부 연결 부위와 데크 공사 등이고, 기간은 4~5일 정도다. 나머지 85% 정도는 공장에서 제작이 이뤄진다. 건축비는 날씨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자재운반비, 인건비 등에서도 많이 절감되기 때문에, 20평 기준 동일한 자재를 사용한다고 할 경우, 현장건축비에 비해 20~30% 정도 저렴하다. 일례로 하루홈의 경우 단열재로 아이씬폼을 사용하는데, 공장에 장비가 있기 때문에 직원이 공장에서 단열재 작업을 하면 되지만, 현장건축의 경우 단열재 장비를 현장으로 옮겨서 작업을 해야 한다. 운반비와 인건비가 추가는 것이다. 최근 들어 GS건설 등 대기업에서 모듈러주택에 관심을 갖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모듈러주택 시장은 더욱 활기를 뛸 것으로 본다. 기술도 많이 발전할 것이다. 특히 GS건설은 모듈러 단독주택에까지 뛰어들었다. 대기업과 경쟁을 해야 한다는 불안감이 없지는 않지만, 우리는 10년 동안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우리만의 노하우를 가지고 있다. 예전에도 대기업에서 모듈러 단독주택에 뛰어들었다가 철수한 사례가 몇몇 있다. 그만큼 대기업이 관심 가질 정도로 전원주택 시장이 크지가 않다. GS건설의 경우 단독주택 중에서도 타운하우스, 다가구주택, 원룸, 오피스 등을 겨냥할 것으로 예상된다.
-
- 집짓기 정보
- 특집기사
-
[21년 07월 특집 1] 탈 현장 건축시대가 도래한다!
-
-
[13th Anniversary 온두린코리아] 온두린코리아 김지훈 소장이 추천하는 지붕재 ‘온두세르Onduser ’ - 이중 지붕으로 단열, 방수, 통기 Up~
- 주택에 사용하는 자재에 있어 다기능 고기능을 요구하는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다. 지붕재도 마찬가지다. 건축주들은 한 번 시공하면 거의 영구적으로 사용하길 원한다. 그런 의미에서 친환경 프랑스 지붕재를 국내 공급하는 온두린코리아가 새로 선보인 온두세르 시스템을 소개한다. 이중 지붕 시스템으로 단열과 방수, 통기성을 한층 높였다.정리 박지혜 기자 자료협조 온두린코리아 02-337-5586 www.onduline.co.kr 전원주택에 자주 사용하는 아스팔트 슁글은 비교적 경제적인 가격과 수월한 시공이 장점이나 제품 특성상 주기적인 보수 관리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와 대조적으로 기와는 무겁고 고가이나 아름답고 고급스러운 외관과 강한 내구성이 장점이다.바로 이 기와와 아스팔트 슁글의 장점을 두루 접목한 신개념의 아스팔트 기와 온두빌라는 세계 100여 개국에서 그 가치를 인정하고 건물에 적용하고 있다. 여타 제품들과 차별화된 초경량, 반영구적인 내구성을 자랑하며, 펄프와 아스팔트를 주 소재로 생산과정에서 탄소 배출 Zero(0)를 실현한 친환경 자재로도 주목 받는다.온두린코리아는 온두빌라에 이어 올해 새로운 지붕 시스템을 선보여 업계 관심을 모으고 있다. 새로운 콘셉트의 지붕 마감재'온두세르Onduser'시스템은 기존에 보지못했던 이중 구조의 지붕 시스템이다. 기존 온두빌라의 아스팔트와 펄프 소재 지붕재(이솔린)를 하부 지붕으로, 특수 세라믹 슬레이트(온두세르)를 상부 지붕으로 구성한다. 이처럼 3㎜ 두께의 이솔린을 하부 지붕재로 사용함으로써 단열, 방수, 통기, 결로 방지 등에 탁월함은 두말할 나위 없다. 보통 슁글이나 기와의 경우 지붕 마감재하부에 저가의 얇은 방수시트를 시공하는데 그것과 비교해 보면 온두세르 시스템의 고성능이 이해가 될 것이다. 40년 내구성 보장온두린코리아 김지훈 소장은 "상부의 온두세르 세라믹 슬레이트는 기존 천연 슬레이트에 비해 다양한 색상 선택이 가능하고 최소 40년 보장이라는 뛰어난 내구성을 자랑한다"며 "온두세르는 수분흡수율이 없는 방수 자재로 미끄럼 방지 처리했으며 자연스러운 무늬 표현으로 주택 외관을 고급스럽게 표현한다"고 소개한다.또한 온두세르는 기울기가 낮은 지붕의 우천 시 역류 문제와 평판지붕의 못 시공 구멍의 누수 문제 등을 스테인리스 후크를 사용한 견고한 결합 방식으로 해결했다. 무게는 ㎡당 기와(40㎏ 이상)의 1/2인 20㎏ 정도로 가벼워 목조주택 합판 위에 시공하는 경우에도 하부구조에 주는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다. 유럽건축자재인증 CE마크를 획득했다.지붕뿐만 아니라 벽체에도 시공 가능하며 벽체에 부분적으로 적용하면 이색적인 외관을 연출할 수 있다. 자연과 어우러지는 전원주택뿐 아니라 도시의 건축물 혹은 일반 건축물을 이국적이고 독특한 외관으로 연출하고자 할 때 온두세르 특유의 부드러운 라인 조합이 도움이 될 것이다. 시공 서비스와 가격시공은 온두린코리아와 제휴하고 있는 협력업체를 통한 책임시공을 기본으로 한다. 다소 까다로운 부분이 있기에 자체 시공을 원할 경우에는 반드시 온두린에서 시공지원을 한다. 온두세르는 세라믹 재질로 견고하지만, 시공 도중 실수로 혹시 깨어질 경우에도 해당 부분만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가격은'저가의 방수시트 위 천연 슬레이트 지붕'의 시공 가격보다 저렴하다. 기와의 경우 견적이 평기와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사실 제반 부속 자재, 하부목재상 작업, 방수시트 등 추가 작업까지 고려하면 의외로 만만치 않다. 온두세르 지붕 시공 가격은 수입 기와 중상급 정도이다.한편, 온두린코리아는 프랑스 온두린 그룹 한국지사로 2004년부터 유럽풍 온두린 지붕재를 국내에 공급했다. 현재 온두린 그룹의 프랑스 공장은 그린벨트인 국립공원지역 내 위치해 오염물질을 발생시키지 않고 한 번 사용한 공업용수마저 재활용하는 친환경 업체로 인정받고 있다.
-
- 집짓기 정보
- 건축정보
-
[13th Anniversary 온두린코리아] 온두린코리아 김지훈 소장이 추천하는 지붕재 ‘온두세르Onduser ’ - 이중 지붕으로 단열, 방수, 통기 Up~
-
-
[에너지 절약형 Green Home의 모든 것] 신소재 펄프로 단열 성능 향상시킨 온두린 지붕재
- 단열이 중시되는 그린홈이 각광받으면서 건축자재 업체가 단열 성능이 강화된 제품 개발에 몰두하고 있다. 특히 지붕은 외기에 직접 면하는 부분으로 단열을 강화하면서 집이 숨을 쉴 수 있도록 환기에도 신경 써야 한다. 신소재 지붕재 온두빌라는 그 자체로 단열 성능을 지니고 구조상 벤트 시공 없이도 환기가 가능한 일석이조 제품으로 그린홈, 친환경 주택 단지 등에 활발히 시공되고 있다.글 한송이 기자 자료협조 온두린코리아 02-337-5586 www.onduline.co.kr 온두린코리아는 프랑스 온두린 그룹을 본사로 둔 한국지사로 2004년부터 유럽풍 온두린 지붕재를 국내에 들이기 시작했다. 현재 온두린그룹의 프랑스 공장은 그린벨트 지역이라고 일컬어지는 국립공원지역 내 위치해 오염물질을 발생시키지 않고 한 번 사용한 공업용수마저 재활용하는 친환경 업체로 인정받고 있다.온두린코리아 김지훈 소장은 "온두린 지붕재는 천연 펄프와 아스팔트 혼합물로 만든 세계특허 제품으로 펄프를 원자재로 이용한다. 때문에 생산 공정에서 다른 지붕재에 비해 CO₂가 적게 발생하는 저탄소 그린 제품이다"고 제품의 친환경성을 강조했다. 단열ㆍ환기성 높인 파도형 구조온두린 지붕재는 주소재가 펄프에서 추출한 섬유소(Organic Fiber)이기에 단열성이 뛰어나다. K-Value(단열성을 나타내는 척도)가 -0.11로 이는 코르크와 같은 단열 수치다. 같은 두께 슬레이트의 15배, 목재의 3배, 합판의 4배 정도 높은 단열성을 나타내는데, 온두린 제품은 두께가 3㎜지만 12㎜ 합판과 동일한 단열성을 지닌다고 보면 된다.이에 반해 금속기와나 스틸 지붕 등은 금속의 특성상 자재가 갖는 단열성은 거의 없다. 까닭에 금속 지붕재 시공 시에는 열반사 단열시트가 필수적이다. 온두린 지붕재는 이러한 추가 자재 비용을 덜어 경제적이다.환기 또한 별다른 시스템 없이 지붕재 구조만으로 해결했다. 지붕을 얹는 지붕판과 지붕재 사이 형성된 공기층이 공기가 자연스럽게 순환되도록 하는 것이다.이와 관련 김 소장은 "공기는 뛰어난 단열체다. 벽체 및 지붕 단열재로 가장 많이 쓰이는 인슐레이션이 바로 공기를 많이 머금은 유리섬유로 만들어진 것"이라며 "따라서 지붕판과 지붕재 사이 공기층 유무가 환기는 물론 단열에도 중요 역할을 한다"고 온두린 제품의 구조와 특성을 설명했다. 인터뷰 온두린그룹아시아지역 매니저크리스토프 보넷Q. 온두린 지붕재가 친환경적인 이유는.A. 영국 BBA인증 등 세계 각국의 까다로운 테스트와 인증을 받아 특허를 받았다. 온두린 지붕재는 환경을 파괴하지 않고 생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생산과정에서 오염물질이 발생하지 않고 CO₂발생을 줄이기 위해 공정 과정을 간단하게 하고 에너지 소비를 줄인다.Q. 제품의 장점은.A. 온두린 지붕재는 낡은 지붕에 덧씌우고 리모델링을 하는 데 용이하다. ㎡당 무게가 4㎏인 경량 지붕재이기에 기존 지붕을 들어내지 않고도 시공 가능해 비용 절감뿐만 아니라 이중 단열의 효과를 낼 수 있다. 단열성, 환기 성능이 높은 온두린 지붕재는'그린홈'이 더욱 확산됨에 따라 세계적으로 각광받는 제품이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 탁월한 내구성ㆍ방수성, 사후관리 불필요지붕재는 환경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으므로 무엇보다 내구성이 중요하다. 온두린 지붕재는 유지보수가 필요 없을 정도로 반영구적이고 시속 190㎞ 강풍에도 견디는 내구성과 적도에서 북극까지 극한의 기후 지역에서도 이용 가능한 방수성도 갖췄다.입체감 있는 골 모양의 미려한 디자인은 천편일률적인 전원주택 외관에 개성과 멋을 더해준다. 시공 방법도 간편하다. 초경량(4㎏/㎡)에 두께도 얇아 스스로 집을 짓고자할 때 간단한 공구만 갖고도 시공이 가능하고 절단 및 고정이 용이해 작업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
- 집짓기 정보
- 건축정보
-
[에너지 절약형 Green Home의 모든 것] 신소재 펄프로 단열 성능 향상시킨 온두린 지붕재
-
-
미국산 무늬목의 생산과정과 시공법
- 미국산 무늬목의 생산과정과 시공법 -------------------------------------------------------------------------------- 활엽수 단판의 최종 가격은 나무가 나타내게 되는 자연적인 제약 조건과 시장에서의 요구량에 따라 결정되며 치수 및 등급 사항이 최종 가격에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산림에서 생산되는 원목 가운데 극히 일부에서만 길이, 폭 및 자연적인 특성 측면에서 최고급의 단판이 얻어지게 됩니다. 특수한 취급이나 탁송 조건, 그리고 특정 길이, 폭 및 두께와 관련된 주문 역시 단판 의 최종 가격에 추가될 수 있습니다. 항상 기억해야 할 것은 여러분은 돈을 지불하고 단판을 구입하는 것이며 이는 단판의 최종 용도에 가장 적합한 특별한 단판을 얻기 위해서라는 점 입니다. -------------------------------------------------------------------------------- 안녕하십니까? 오늘 저희 세미나에 와 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는 미국 워싱턴 D.C. 근교에 위치한 전미 활엽수 합판 및 단판 협회 사장으로 재직하고 있는 Bill Altman 입니다. HPVA는 활엽수 무늬목 단판, 집성 마루재, 활엽수 합판 등을 생산하는 미국의 약 200개 이상의 활엽수 목재 제조업체를 대표하고 있는 단체입니다. 우리 협회는 미국 활엽수 목재 수출 협회(American Hardwood Export Council)의 회원이기도 합니다. 미국산 활엽수 단판 미국 활엽수 판재와 단판은 우리의 가정이나 사무실의 가구, 마루 그리고 다양한 인테리어에 특별한 아름다움을 선사할 수 있는 많은 가능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인테리어 공사나 가구 제작시 사용할 올바른 활엽수 무늬목을 선정 및 구매하고 그 디자인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다음 세 가지의 중요한 사항을 이해 하셔야 합니다. 활엽수에는 다양한 수종이 있으며 그 수종에 따른 외관의 차이 그리고 다양한 조합 방법(Matching Style)등이 있다는 걸 기억하는 게 매우 중요합니다. 오늘 강의에서는 무늬목 외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무늬목 제조과정을 돌아보고 그 조합 방법에 대해 설명드림과 동시에 미국산 활엽수 무늬목이 세계 각지의 고급 인테리어 및 가구 공사에 사용된 예를 보여 드리며 설명하겠습니다. 현재 상업용 도로 생산이 가능한 활엽수 수종 중에는 적참 나무(Red Oak), 백참 나무(White Oak), 벗 나무(Cherry), 그리고 단풍나무 (Maple) 등이 아시아 지역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물푸레 나무(Ash)나 자작 나무(Birch) 그리고 호두나무 (Walnut) 등을 포함한 타 수종들 또한 전 세계적으로 매우 중요한 수종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현재 북미에서 생산된 슬라이스 단판의 약 1/2이 해외로 수출되고 있습니다. 장식적인 효과 (Decorative Effect) 전 세계적으로 활엽수 무늬목은 놀라울 정도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림에서 보고계시는 활엽수 집성 마루판재(engineered hardwood flooring - 6.12)는 건물의 외관을 한층 풍부하게 표현하게 해 줍니다. 새롭고 견고한 마감 기술 덕분에 활엽수 집성 마루재의 수요는 미국과 세계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 그림에서 보시는 문들은 마루나 가구 그리고 방의 다른 요소들을 보완하면서 전체 인테리어의 중심 요소로서 극적인 인상을 주고 있습니다. 활엽수 무늬목은 일반 가정 인테리어[17], 사무실 가구[3], 부엌 가구[7.13], 휴식 공간, 악기, 그리고 건축용[6.17]등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으며 많은 경우에 활엽수 판재와 무늬목이 적절히 혼합되어 사용되고 있으며[6.4] 특히 가구의 다리 및 모서리 부분(요즘은 단판 모서리 처리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지만) 은 원목으로 처리하고 있습니다. 가구의 측면과 상판 그리고 뒷부분 등은 특히 무늬목 마감 판재로 처리하는 경우가 많은데 고급의 목재와 독특한 목리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무늬목의 사용이 선호되고 있습니다. 단판 제조용 원목 (V-Log)제조 과정의 첫 시작은 크기와 시각적인 특성을 고려한 원목의 신중한 선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무늬목의 생산량에 영향을 주는 원목의 특성이야말로 이러한 높은 등급의 원목을 선별하는데 가장 신중하게 고려해야 하는 요소인데 이는 단판 제조 업자들이 실제 생산이 시작되기 전에는 원목의 시각적인 요소나 등급 등을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8.3)구입 후 수종별로 분류된 원목은 제제소로 옮겨져서 생산하고자 하는 단판의 타입에 따라 이등분 또는 사등분의 목편(flitch)으로 자르게 됩니다.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지니는 단판을 생산하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단판 절삭법이 이용되고 있는데 같은 원목에서 생산되는 단판이라 하더라도 절삭 방법에 따라 전혀 다른 외관을 나타내는 무늬목이 생산됩니다. 회전삭 (Rotary Cut) 회전삭에서는 원목의 중심이 회전축이 되도록 레이스에 고정한 다음 칼날에 대해 회전시켜 줌으로써 두루마리 화장지가 풀리듯이 단판이 절삭 되게 됩니다. 이 절삭 방법으로는 다양한 형태의 목리를 지니는 단판이 얻어지는데 특히 회전삭으로 절삭되는 경우 1매의 단판이 너비가 48인치(122센티)까지 충분히 넓게 생산될 수 있습니다. (주: 미국 합판 및 단판 협회에서 실시한 설문 조사 결과에 의하면 미국 내 약 35개의 단판 제조 업체중 18개 업체에서 생산되고 있는 252백만 sf 의 단판(두께가 1/25 인치 이상인 단판)중 경단풍나무가 약 50%, 적참 나무 31%, 기타가 약 19% 정도를 차지하였으며 (두께가 1/28 인치 이하)인 총 2천 4백만 sf 중 45%가 자작나무, 28%가 적참나무, 23%는 경단풍 나무 그리고 기타가 약 4%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판목 슬라이싱/평절삭(Plain Slicing) (1.26) Flat cut, flat sliced, crown cut 또는 plain sliced 란 지역에 따라 명칭의 차이가 있을 뿐 모두 판목 슬라이싱을 일컫는 말입니다. 반원상의 목편의 수심쪽을 목편 고정장치에 접하도록 물린 다음 슬라이서를 이용하여 목편의 접선 방향으로 평행하게 절삭해 나가는(55) 이러한 절삭 방법은 독특한 교회 지붕이나 하트 모양의 무늬를 얻을 수 있으며 이 경우 곧은결 무늬(quarter) 대 왕관 무늬(crown)의 단판 비율이 약 40% 와 60% 정도가 생산됩니다. 단판의 폭는 원목의 크기와 수종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참나무의 경우 16인치(41cm ) 이상의 폭의 단판이 생산되나 이 경우에는 원목의 구입 시 판매자와 구입자 사이에 사전에 특정 크기의 원목에 대한 조건을 협의해야 합니다. 판목 슬라이싱은 절삭 방법 중 폭이 가장 큰 단판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인데 이는 원목이 절삭되기 전에 두개의 편목으로 나뉘어지기 때문입니다. 다른 절삭 방법은 절삭 이전에 원목을 여러 개의 다양한 편목으로 나누어 절삭하게 됩니다. (주: 북미에 소재한 약 32개의 단판 제조업체에 대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1998년 북미의 활엽수 슬라이스 무늬목의 생산량은 약 7천 3백만 sf에 달하며 그중 약 절반 가량인 3천 8백만 sf 가 수출되고 있습니다). (1998년 전체 생산중 체리가 약 28%를, 화이트 오크 22%, 레드 오크 21%, 경 단풍나무 13%, 호두나무 5%, 물풀레 나무 2% 그리고 자작나무가 약 1%를 기타 수종이 8%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정목 절삭(Quarter Slicing) 정목 절삭은 원목을 4개의 편목으로 나누게 됩니다. 4등분된 4원상의 목편을 나이테와 칼날의 절삭 방향에 대해 직각이 되게 고정하고 절삭하게 되므로 연속적인 곧은결 무늬의 단판을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절삭 방법으로 얻게 되는 단판의 폭는 평절삭 보다는 좁으나 원목의 크기에 따라 평균 8인치 (20 cm) 이하 정도가 됩니다. 종절삭/길이방향 절삭(Rift-cutting) 길이 방향 절삭에 의한 단판은 참나무류와 같이 넓은 방사조직을 지니는 수종으로부터 생산되며 원목은 보통 2개 또는 4개의 편목으로 나뉘게 됩니다. 이러한 절삭방법은 슬라이서를 15도 각도로 유지시켜 놓고 편목을 일정한 절삭각을 가지도록 회전시키면서 절삭하기 때문에 곧은결 목리의 단판을 얻을 수 있습니다. 종절삭 방법으로 얻어진 단판의 폭은 판목 슬라이딩 단판 보다 좁지만 원목의 크기에 따라 평균 8인치(20cm) 정도입니다. 단판의 두께 (Veneer Thickness) 미국 활엽수 합판 및 단판 협회에서 제정한 ‘외장용 목재 단판 자율 기준’ (The HPVA Voluntary Standard for Slice Decorative Wood Face Veneer)에는 거의 모든 미국 내수용 및 수출용 단판에 적용되며 제시된 기준 이외에 단판 규격에 대해서는 구매자와 판매자간의 상호 이해와 협의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거의 대부분의 활엽수 수종 단판의 자율 두께는 0.55 mm 이며 벗나무(cherry)의 경우에는 0.50mm , 호두나무(walnut)의 경우에는 0.50mm 그리고 옹이가 있는 백 소나무의 경우는 0.95mm 정도가 됩니다. 단판의 함수율(Veneer Moisture Content) 수출용 활엽수 단판의 기준 함수율은 12-16% 정도입니다. 이러한 수준의 함수율은 운송 도중 발생하는 목재의 자연 건조를 감안한 것이며 대부분의 단판 사용자들은 원목 절삭에 앞서 몇 일 동안 보관하게 되는데 이 기간동안 목재는 새로운 자연 환경에 자연스럽게 적응하게 됩니다. 활엽수 단판 수출 수출용 단판은 두께뿐만 아니라 내수용으로 생산되는 단판과는 다른 방식으로 준비되어 출하됩니다. 단판의 출하 ‘재단하고 묶어 포장함’ 또는 ‘수출 준비 완료’가 그것인데, 모든 측면과 횡단면을 재단하고 단판을 묶어 포장하게 됩니다. 단판의 포장 한 포장 단위당 단판의 장수는 단판의 두께에 따라 다르지만 대부분의 수종과 평균 두께(0.4 mm - 0.6 mm)의 경우 약 24 ~32 장 정도가 일반적입니다. 동일한 편목으로부터 절삭된 단판들은 같이 보관하며 같이 판매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특별 주문 시에는 이들을 선별한 다음 다른 목편으로부터 생산된 단판들과 함께 섞어 포장한 상태로 판매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단판의 등급 등급 판정라인(grading line)은 수출용 단판이 신중하게 측량되고 등급이 매겨지는 단계이며 단판의 판매자 요구 가격(asking price)도 이 단계에서 정해지게 됩니다. 현재 단판 업계에서는 전반적으로 인정하는 등급 체계가 없으므로 각 고객의 요구 조건에 따라 판매될 뿐 공개 시장에서 일상적인 상품으로는 판매되고 있지 않으며 개인적인 검수 또는 판매자와 구매자 사이의 등급에 대한 합의 아래 판매되고 있습니다. 길이, 폭, 두께, 물량 등은 수율과 가격에 영향을 미치므로 판매자와 구매자 사이에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어야 하며 그 합의 하에 가격이 결정되게 됩니다. 활엽수 단판의 다양한 응용(Veneer Applications) 지금까지는 다른 절삭 방법에 따라 생산되는 다양한 단판의 외관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고 지금부터는 단판 생산자의 단판의 용도에 대한 충분한 사전 설명과 이해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예를 들어 서랍장 표면 같은 경우 [7.14] 길이, 높이 그리고 등급의 요구조건이 문짝과는 다르며 [6.14] 어떠한 경우라도 가장 중요한 요소는 단판의 소요량입니다. 소요되는 모든 단판이 한 그루의 나무에서 생산되느냐(지금 보는 문짝의 예처럼) 아니면 여러 그루에서 생산[7-그림에서 보는 건축용 등] 이 되는가? 등과 같은 각 프로젝트에 대한 구매자와 판매자간의 충분한 의사 소통이 이루어 졌을 때 구매자는 알맞은 수종 및 등급의 목재를 구입할 수 있으며 동시에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을 것입니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활엽수 단판의 경우 단판업계에서 문서화된 특정한 등급 기준이 없으므로 여기에서는 거의 모든 미국 단판 업계에서 판매 가격을 책정할 때 사용하는 기본 개념을 간단히 소개하겠습니다. 단판의 구매 활엽수 단판용 원목의 길이는 제조업자가 단판의 최종 용도를 가구용 또는 사무용 가구, 문, 벽판넬 또는 고급 건축용으로 사용하는냐에 따라 결정되며 그러므로 제조업자에게 충분히 단판 최종 용도에 대하여 설명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은 단판 사용목적에 따른 단판의 길이를 대략적으로 소개한 것입니다. 50 cm - 200 cm 210 cm - 250 cm (10 cm 이상의 폭) 250 cm - 이상 가구 문, 건축용 벽판넬, 건축용 제품의 최종 용도에 따라 단판의 폭 또한 달라질 수 있는데 단판의 최소 폭은 9cm 또는 10 cm 정도입니다. 활엽수 단판의 최종 가격은 나무가 나타내게 되는 자연적인 제약 조건과 시장에서의 요구량에 따라 결정되며 치수 및 등급 사항이 최종 가격에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산림에서 생산되는 원목 가운데 극히 일부에서만 길이, 폭 및 자연적인 특성 측면에서 최고급의 단판이 얻어지게 됩니다. 특수한 취급이나 탁송 조건, 그리고 특정 길이, 폭 및 두께와 관련된 주문 역시 단판의 최종 가격에 추가될 수 있습니다. 항상 기억해야 할 것은 여러분은 돈을 지불하고 단판을 구입하는 것이며 이는 단판의 최종 용도에 가장 적합한 특별한 단판을 얻기 위해서라는 점입니다. 특정 용도에 맞는 단판을 구입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특히 구매자 여러분은 미국내 단판 유통 업체에 전화나 팩스로 연락을 하거나 미국 제조업체에 직접 연락을 할 수도 있고 또는 직접 제조업체를 방문할 수도 있습니다. 활엽수 단판 제조 업체 명단은 미국 활엽수 목재 협회(American Hardwood Export Council)나 AHEC이 대표하는 관련 단체를 통해서 받아볼 수 있습니다. 활엽수 단판 구매의 가장 중요한 점은 구매자와 판매자간의 장기적인 신뢰와 관계를 확립, 유지하는 것입니다. (좀더 자세한 미국 활엽수 단판 업체 명단은 www.hpva.org를 방문해 보시기 바랍니다). 미국 동부에서 활엽수 단판을 수송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신용장 개설 준비 및 단판의 수령확인까지 약 2달 정도가 소요되며 대부분의 단판 제조업자들은 원목을 제재소에 보관하고 있기 때문에 2달간의 시간여유를 주는 조건이라면 언제든지 구매자의 주문에 응할 수 있습니다. 단판 조합 방법(Match) 다양한 단판 무늬 조합은 그 외관을 극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각각의 조합 방법은 아주 특별한 패턴을 보여주게 되는데 이는 시각적인 효과와 최종 외관을 캐주얼 한 분위기서부터 전통적인 분위기까지 다양하게 표현하게 됩니다. 다음은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조합 방법의 예를 소개하겠습니다. 북 매치 (Book Match) 가장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조합 방법으로서 편목으로부터 생산되는 단판을 하나 걸러 하나씩 뒤집어서 나열하여 연속된 단판이 서로 대칭으로 연결되어 마치 책을 펼친 모양이 되는 조합 방법으로 목리가 단판 연결 부분을 중심으로 상하로 교차되는 모양을 띄게 되는 게 특징입니다. 슬립 조합(Slip Match) 슬립 조합은 북 매치 다음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조합 방법입니다. 연속되는 단판을 같은 면이 보이도록 순서대로 나열하기 때문에 목리가 곧은 경우라면 접합 부분이 눈에 띄이지 않으며 만약 목리가 완벽한 수평이 아니라면 경사진 무늬의 단판을 얻게 됩니다. 이러한 조합 방법은 단판과 단판사이의 목리가 접합부분에서 정확하게 만나는 경우가 아니라면 계속해서 반복되는 패턴을 보여주게 됩니다. 무작위 조합 (Random or Mismatch) 이 조합 방법은 하나의 또는 그 이상의 편목에서 생산되는 단판으로 만들어지는데 보통 옹이나, 얼룩 그리고 기타 천연 소재에서 볼 수 있는 자연적인 특성 등을 가지고 있는 저등급의 단판을 이용합니다. 이 조합에 사용되는 단판의 폭은 서로 다를 수 있으며 마치 판자나 보드와 같아 보이는 시각적인 효과가 있습니다. 기타 조합 활엽수 단판의 조합 방법에는 이 이외에도 다양한 미적이고 흥미로운 패턴을 표현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최근 증가하고 있는 활엽수 단판의 또 다른 용도로는 모서리 마감인데 이는 주로 부엌 캐비닛, 가구 그리고 각종 목공제품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모서리 마감용은 주로 종절삭 방법으로 생산되어 핑거 조인트된 곧은 목리목이 사용되고 있고 여러폭의 두께로 제작이 가능합니다. 새로운 접착 기술의 발달은 활엽수 단판을 MDF 나 심지어는 철제에도 접착시킬 수 있게 되었으며 아주 작은 폭의 몰딩 제품에서부터 넓고 긴 길이의 제품에 이르기까지 단판 접착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외형 마감(profile wrapping)으로 많이 사용되는 활엽수 단판은 특히 판목 슬라이딩(Plain Slicing)으로 생산된 경우가 많은데 이는 효과적인 비용 절약 및 생산 측면에서 좀더 많은 회사들이 선호하고 있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사용의 예 상상력과 창조력은 미국산 활엽수 단판 사용을 통해서 가장 놀라운 기능성을 갖춘 예술 작품을 탄생시키기도 합니다. 여기의 예에서 볼 수 있듯이 활엽수 단판의 사용 가능성은 무한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田 ■ 글 빌 알트만(Bill E.T Altman)
-
- 집짓기 정보
- 건축정보
-
미국산 무늬목의 생산과정과 시공법
-
-
수공식 통나무주택과 기계식 통나무주택
- 수공식 통나무주택과 기계식 통나무주택--------------------------------------------------------------------------------우리 대통령의 유럽 순방 때 방문지였던 스트라스부르그(Strasbrug)에는 수도원을 비롯하여 아직도 목구조주택(Timber frame house)으로 지어진 몇 백년 된 마을이 남아있어 그 고색 창연함이 세계인으로부터 부러움을 사고 있다. 집은 그때 그때의 유행과 임시방편으로 지을 것인가, 통나무집의 대명사가 된 샬레 스위스(Chalet Swiss)처럼 세월에 관계없는 자부심으로 지을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그리고 내 취향은 어느 종류인가도 확인해야 하는데 같은 통나무집이라도 안목에 따라 결과의 차이는 매우 다르기 때문에 신중하게 결정하여야 한다. --------------------------------------------------------------------------------글 싣는 순서 통나무주택의 종류수공식 통나무주택과 기계식 통나무주택유럽풍의 목구조 주택(Timber frame house) 통나무주택의 결합구조통나무집의 단열 우리나라도 서구에서처럼 통나무집의 수요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전문 지식층의 통나무집 선호도는 더욱 뚜렷해지고, 연령층도 30~40대 비중이 차츰 높아지고 있다. 그렇다면 무엇 때문에 통나무집을 선호하는 것일까.긴 건축 수명, 높은 에너지 효과 그리고 확실한 건강 증진 효과 등 이런 것만이 그 이유의 전부는 아니다. 많은 사람들은 '표현할 수 없는 무엇인가'에 끌리는 매력을 이야기하곤 한다. 분명한 것은, 태초부터 우리에게 전해져 오는 유전 정보는 수만 년을 거치면서 이미 우리 몸은 나무에 대하여 친화적 생리로 고정되었다는 점이다. 불과 몇 십년 간의 생소한 경험인 시멘트나 철이 주는 생리적 거부감은 당연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통나무집의 원형 수공식(Hand Craft)통나무집의 원형이라 할 수 있는 손으로 깎는 통나무집(Hand Craft)을 주로 미국이나 캐나다에서 많이 지어진다. 그 이유는 2백년 남짓한 그들 역사의 상한선이기도 한 초기 이민 시대와 서부 개척 시대에 원시림을 베어 통나무집을 만들고 요새를 건설한 향수를 반영하기 때문이다.지금도 컨트리 음악과 카우보이 문화는 수공식(手工式) 통나무주택과 함께 강대국 미국의 문화적 배경으로 자리하고 있고, 또 미국인들은 통나무집을 거칠지만 소박한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수공식 통나무주택은 공장 설비가 필요치 않고 제작과정이 주로 인력에 의존하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어, 미국에서 통나무주택의 약 20~30%정도는 수공식 통나무주택이 차지하고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손으로 만드는 방법(수공식)의 통나무 학교가 다수 운영되고 있으며 수공식 통나무주택의 공급비중이 매우 큰 편이다.속껍질까지 깨끗하게 벗겨야수공식 통나무집은 현장에 운반되기 전에 공장에서 먼저 조립하는 방법과 현장 제작하는 방법이 있으며, 먼저 용도에 맞는 원목을 하얀 속살이 나오도록 양손 낫으로 속껍질까지 모두 깨끗하게 벗겨 내는 것부터 시작된다. 껍질사이는 각종 해충이 가장 많이 숨어 있는 곳이기 때문이다.껍질을 벗긴 원목 하나 하나를 아래에 놓인 원목에 꼭 맞게 일일이 깎는 일과 단열을 위한 홈파기 그리고 방향이 바뀌는 벽체와 벽체를 이어주는 모서리 파기(Notch) 공정을 특수 낫과 손도끼, 엔진톱 등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해야 한다. 공장에서 제작하는 경우 위에서 말한 공정을 거친 통나무집을 공장에서 실제 조립을 거친 후 분해하여 현장으로 운반하게된다. 현장에 도착한 통나무들은 다시 제자리에 조립되게 되는데, 무게가 아주 무거우므로 크레인 같은 중장비가 동원된다.또한 뒤틀림과 수축을 고려해 수직방향으로 볼트(Thru Bolt)로 조이게 되는데 적어도 1년에 2~3회 그리고 2~5년 간 계속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트는 25m/m 전후의 굵기로 50cm정도의 간격으로 바닥에서부터 벽체의 끝까지 연결되어야한다.간혹 쇠못을 사용하는 경우를 보는데 굵은 원목의 뒤틀림(應力)에 비해 충분치 않고 또한 시간이 가면서 발생하는 수축에 적합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업체에 따라 길이 25cm의 쇠못에 탄성이 강한 스프링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약점을 보완하기도 한다.통나무집의 새로운 탄생 기계화 공법(Milled Craft)기계화생산 방법(Milled Craft)에 의한 통나무주택은 미국의 경우 약 70% 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유럽의 경우 거의 모든 통나무주택의 생산은 기계화된 공장에서 생산되고 있다.기계가공 방법(Milled Craft)에 의한 통나무주택은 대체로 통나무의 원형을 살린 'O'형, 한쪽을 잘라낸 모습의 'D'형, 양쪽을 잘라 낸 4각 모양(Rectangular)이 있으며 생산 회사에 따라 각기 나름대로 독특한 원목의 모양이 있다. 모서리를 짜 맞추는 방법 역시 여러 가지가 있어 취향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이미 현대 산업생산의 영역에 자리를 잡은 기계가공방법의 통나무주택은 설계과정 뿐 아니라 건조와 생산과정이 고도화되어 선두 회사들은 대부분의 공정을 자동화 과정으로 진행하고 있다. 기계가공방법은 품질을 표준화하여 생산비를 크게 절감하여 소비자가 통나무주택의 꿈에 쉽게 다가갈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예를 들어 비슷한 규모의 한옥을 제대로 짓는 것과 대비하면 목재의 양은 약 5~10배 가량 더 들고도 건축기간이나 비용은 절반수준이면 가능하다. 이것은 기계화 자동화 생산의 효과인 것이다.현장에서 구조적 변형은 불가능기계가공방법은 건물 전체의 구조체가 되는 원목 모두가 이미 만들어져서 공급된다는 점부터 수공식과 출발이 달라진다. 이런 공장생산방법의 통나무주택은 주문할 때에 건축에 관련된 창호의 크기와 위치 등 모든 요소를 확실히 이해하고 설계하여야 한다. 뿐만 아니라 기타 부자재의 규격과 수량에 대한 주문내용도 정확해야한다.통나무 벽체와 창호자리(Window Opening) 그리고 벽체의 결합 위치가 정확하게 공장에서 미리 만들어져서 오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설계변경이나 구조적 변형이 어렵다. 더욱이 높은 수준의 통나무주택은 현관이나 주방, 침실 등의 공간을 이어주는 벽체 나무가 잘리지 않고 하나의 나무로 쌓게 되어 생산비에서부터 건축공정에 이르기까지 원가를 절감시키고 구조력을 더욱 향상시키고 있다. 이런 까닭에 생산과 공급을 할 회사가 외국 회사라면 그 회사의 통나무주택 시스템에 대한 이해와 원활한 의사소통이 더욱 중요하다.유럽풍의 목구조주택(Timber frame house)그밖에 한국에는 별로 소개되지 않았지만 통나무로 골격을 짜고 벽체를 마감하는 집(Post & Beam)과 중세의 정통 유럽풍으로 잘 제재된 목재를 다양한 방법으로 조합하는 목구조주택(Timber frame house)이 있다. 목구조주택(Timber frame house)은 우리나라에서도 전원주택으로 많이 짓는 2"X4" 혹은 2"X6" 경량 목조주택의 원형이다.통나무 골조주택(post &beam)은 수공식 통나무주택의 2층에 주로 사용하는 형태로 삼각형의 박공지붕 구조에 주로 이용되는 형태로 이해하면 된다. 즉 통나무를 가로세로로 연결하여 결합을 이루고 그사이를 메워서 벽체를 만드는 것이다. 두 가지 주택 모두 벽체를 형성하는 방법은 같다.일반적으로 벽체의 구성은 황토나 석회를 재료로 하는 습식(濕式)벽이나, 합판사이에 스티로폼 또는 유리섬유로 단열재로 하는 건식벽(Dry Wall) 모두 가능하며, 마감은 벽지를 바르거나 석회 벽으로 마감할 수 있다 요즘은 기능성(항균, 방염, 방향성) 페인트도 사용하고있다. 물론 통나무집처럼 나무로 마감할 수도 있다.이 두 가지 차이는 초가나 흙집과 같이 토속적이고 투박한 서민적 체취가 풍기는 집과, 기술적으로 정돈되고 완성미가 돋보이는 기와집과의 차이라 할 수 있다.우리 대통령의 유럽 순방 때 방문지였던 스트라스부르그(Strasbrug)에는 수도원을 비롯하여 아직도 목구조주택(Timber frame house)으로 지어진 몇 백년 된 마을이 남아있어 그 고색 창연함이 세계인으로부터 부러움을 사고 있다.집은 그때 그때의 유행과 임시방편으로 지을 것인가, 통나무집의 대명사가 된 샬레 스위스(Chalet Swiss)처럼 세월에 관계없는 자부심으로 지을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그리고 내 취향은 어느 종류인가도 확인해야 하는데 같은 통나무집이라도 안목에 따라 결과의 차이는 매우 다르기 때문에 신중하게 결정하여야 한다.田■ 글 정인화(발미스코리아 대표 054-975-1240)
-
- 집짓기 정보
- 건축정보
-
수공식 통나무주택과 기계식 통나무주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