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보기
 
일생을 선비처럼 살아온 
대통령의 ‘검소한 생활상’

평생을 절제하며 검소하게 살아온 대통령이 있다. ‘우리 시대 선비의 표상’이라 불리는 최규하 전 대통령이다. 
서교동 가옥을 찾아 그의 검박하고 올곧은 생활상을 들여다봤다.

글·사진 박치민 기자 취재 협조 서울시


규하 전 대통령의 서교동 가옥은 대통령이 1973년부터 2006년 서거할 때까지 약 30여 년을 거주한 가옥이다. 70년대에 유행한 전형적인 복층 복열형 도시 주택으로, 구조는 철근 콘크리트와 벽돌 조적을 혼합한 형태다.

“살 수 있을 정도면 된다”
몸에 밴 검소한 생활
가옥은 지상 1,2층과 지하 1층으로 이뤄져 있다. 대통령의 생활상은 검박함으로 일축된다. 고위 공직에 있으면서도 허례허식과는 거리가 멀었다. “살 수 있을 정도면 된다”며 대통령 부부는 항상 검소한 생활을 했다고 한다. 가옥 내에 남아 있는 유물만 봐도 그 검소함은 오랜 기간 몸에 밴 습관임을 알 수 있다.
1층 현관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게 낡은 신발장과 굽이 다 떨어진 구두 십여 켤레다. 거실에는 낡고 색 바랜 장식장이 30년 세월의 흔적을 고스란히 담고 있으며, 자개장이 놓인 안방은 마치 시간을 과거로 돌려놓은 듯한 착각마저 들게 한다. 
1층 거실. 낡고 색 바랜 장식장이 30년 세월의 흔적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1층 응접실. 대통령이 외부 방문객을 맞아 담소를 나누던 공간이다. 말년에는 주로 이 응접실에서 시간을 보냈다고 한다.딸 종혜 씨가 태어나던 해인 1953년에 구입한 선풍기. 2006년 타계할 때까지 50년을 넘게 사용했다.
1970년대 장남 윤홍 씨가 미국에서 사용하던 것을 국내에 들어오면서 설치한 에어컨이다. 소음이 심해 주로 손님이 오기 전에만 작동했다고 한다.
홍기 여사가 사용했던 싱거 미싱. 일제 강점기 때 생산된 것으로 추정된다.



응접실에는 골동품처럼 보이는 50년 된 선풍기가 있다. 딸 종혜 씨가 태어난 1953년에 구입한 것으로 대통령이 타계할 때까지 사용한 것이다. 얼마나 소중히 관리했는지 지금도 시원하게 작동된다. 에어컨 역시 1970년대 장남 윤홍 씨가 미국에서 사용하다가 국내에 들어오면서 설치한 것이다. 
이외에도 천을 덧대 꿰맨 보료 등받이며, 달력을 잘라 만든 메모지, 일제 강점기 때 생산된 것으로 추정되는 싱거 미싱 등 부부의 검소함은 집안 곳곳에 드러난다.
대통령은 국무총리 시절 “광부들의 노고를 잊지 않고자 평생 연탄을 때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그 약속을 지키기 위해 그는 노년까지 연탄보일러를 사용했다. 지하층의 연탄보일러를 보면서 누구나 숙연해지는 것은 격동의 세월 속에서도 변치 않은 그의 올곧은 성품 때문이리라.
자개장이 놓인 1층 안방.홍기 여사의 방. 수도 공간처럼 아담하고 정갈하다.1층 식당. 1973년 이 집에 이사올 때부터 사용한 장식장과 식탁이 눈길을 끈다. 의전용으로 꾸민 식당으로 평소 대통령 내외만 식사를 할 때는 밥상에 차려 드셨다고 한다.2층 서재. 책장에는 정치, 철학, 문학 등 인문학 서적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서재 한 켠에 깔린 보료에는 홍기 여사가 천을 덧대 꿰맨 흔적이 뚜렷하다.2층 서재의 오래된 TV와 라디오.대통령은 늘 철지난 달력을 잘라 메모지로 사용했다.


남편 최규하
지극했던 부부사랑
대통령과 홍기 여사는 1935년에 결혼, 슬하에 2남 1녀를 두었다. 결혼 후 신혼생활을 누려볼 틈도 없이 대통령은 곧바로 혼자 유학을 떠나 43년에야 귀향했다. 떨어져 지낸 기간만 무려 8년. 그동안 홍 여사는 남편 없이 시부모를 모셨고, 결혼 10년 만에 장남 윤홍을 낳았다. 이후 대통령이 외교관으로 해외에서 근무하고, 67년 서울에 돌아올 때까지 부부는 줄곧 외국에서 생활했다. 
60년을 함께 한 대통령 부부에 대해 가족들은 “두 분은 살갑게 말은 안 해도 서로에 대한 존경과 신뢰, 사랑이 넘쳐나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고 전한다. 노년에도 부부의 사랑은 지극하고 또 애잔했다. 홍 여사가 8년에 걸친 투병생활을 할 때, 350여일을 입원해 있는 동안에도 대통령은 하루도 빠짐없이 아내의 병원을 찾았다. 그리고 혈압, 혈당의 수치 같은 것들을 간병일지에 빼곡히 적어내려 갔다. 집 안에 약탕기가 많은 것도 홍 여사의 병수발 때문. 대통령 전 비서관은 부부에 대해 “부인에 대해 짜증낸 적이 없었다”며 “아내가 살아있는 것만으로도 퍽 의지가 되는 것 같이 보였다. 참으로 애틋했다”고 전한다.
지하실 한쪽에 놓인 연탄보일러. 대통령은 총리 시절인 1979년, 탄광촌의 막장을 시찰한 뒤 “광부들의 노고를 잊지 않고자 평생 연탄을 때겠다”고 약속하고, 서거 순간까지 그 약속을 지켰다.지하 창고. 맷돌과 돌절구 등이 부부의 검소함을 보여준다.지하층의 주방/식당. 가족이 주로 식사를 하던 공간이다.1970년대 유행한 커피 잔 세트.대통령의 소박한 밥상. 대통령은 식탐이 없었다고 한다. 그가 즐겨 먹은 음식은 꽁치와 콩자반, 국수, 냉면같은 서민적인 식단이었다.지하의 또 다른 창고에는 대통령이 외교관 시절부터 사용한 여행가방과 고쳐 신었던 신발들이 놓여있다.

아버지 최규하
유근유공惟勤有功의 가르침
대통령은 자녀들에게 늘 ‘유근유공’을 강조했다. 이는 ‘부지런한 노력만이 그 공을 인정받는다’란 뜻으로 대통령의 좌우명이기도 하다. 공직은 물론 가정에서도 대통령은 성실함으로 모범을 보였다. 뜻한 바를 이루기 위해 작은 일에도 부단히 노력했으며, 늘 정직하고 청렴했다. 자녀들은 말한다. “아버님의 이러한 가르침을 통해 형제들이 모두 바른 길을 갈 수 있었다”고.

대통령의 가족사진과 손자에게 받은 편지.대통령은 애연가로도 유명했다. 그의 호주머니에는 늘 담배 3,4갑이 들어있었다고 한다.대통령은 가장 값싼 담배였던 ‘한산도’를 즐겨 피웠다고 한다. 외국 대사들이 ‘한산도’가 고급 담배인 줄 알고, 선물용으로 자주 사갔다는 일화가 전해진다.나무 또는 박스 종이로 이름표를 붙인 열쇠들.타워호텔 시계와 볼펜. 1968년 벤스 특사간 철야 회담이 열렸던 타워호텔에서 사용했던 볼펜이다.맷돌 위의 절구. 대통령 전 비서관은 “가옥 어디에도 사치라고는 찾아볼 수가 없으며 쓸만한 것이 집밖으로 나가는 법이 없다”고 회고한 바 있다.




옛 선비들의 비명을 보면 대체로 이렇다. 
“성품이 검소해 재상이 되도 지극히 검박하게 생활했으며, 집은 선친의 옛집을 수리한 것일 뿐이라 대청 앞이 말을 돌릴 수 없을 정도로 비좁았다”
최 전 대통령과 그의 생활상을 잘 나타낸 비문이 아닐까. 역사의 평가는 엇갈리지만 그의 청렴하고 근검한 정신만큼은 지금 이 시대에 우리가 잃어버린 가치가 무엇인지 다시금 되돌아보게 한다.田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명사의 집을 찾아서 ① - 최규하 대통령 가옥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